충남도 국감 현안 삼킨 김태흠의 '막말'

[국감] 김태흠, 의원 비판 잇따르자 "제 스타일대로 가겠다"

2025-10-27     김다소미 기자
김태흠 충남지사가 27일 오후 재개된 국정감사에서 의원들과 고성 설전을 이어갔다. 김다소미 기자. 

 

국회 행정안전위원회가 27일 오후 충남도청에서 진행한 국정감사에서는 김태흠 충남지사의 태도와 언행이 모든 현안을 삼켰다.

의원들은 김 지사의 발언을 집중 비판했고, 김 지사는 “제 스타일대로 가겠다”며 맞섰다. 앞선 오전 감사에서는 답변 태도 논란으로 정회가 선언됐고, 오후엔 막말·언론 대응·예산 지시 논란이 이어졌다.

이날 국감은 김 지사가 물러섬 없이 맞서면서 ‘김태흠 스타일’이라는 도정 리더십의 민낯이 드러나는 무대로 변질됐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한병도 의원. 

“공직자는 설득의 언어 써야”… 과거 막말 발언 줄소환

더불어민주당 한병도 의원(전북 익산을)은 김 지사에게 “공직자는 갈등의 언어보다 설득의 언어를 써야 한다”며 “한 마디 말이 지역의 갈등 불씨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 의원은 이어 “지난 7월 폭우 당시 해외 출장의 적절성을 지적했을 때 민주당의 불순한 의도를 좌시하지 않겠다고 한 대응은 고압적이었다”며 “비판할 수 있는 사안임에도 비판 언론에 광고 집행 중단으로 대응한 건 문제 제기 자체를 좌시하지 않겠다는 태도”라고 비판했다.

이어 과거 막말 논란을 나열했다.

한 의원은 “2014년 세월호 유가족 단식농성 당시 ‘옷 걸어놓고 모양새가 뭐냐, 노숙자 느낌’이라 한 발언은 유족에게 큰 상처였다. 2017년에는 자유한국당이 친박 정당으로 비판받자 ‘문재인 전 대통령과 안희정 전 지사는 노무현 전 대통령이 사망했을 때 자신들도 죽든지 폐족됐어야 했다’고 말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올해 1월엔 기자들과 신년 오찬에서 MBC 노조를 ‘나쁜 XX들’이라고 발언했음이 알려지며 비판을 받았다. 2월엔 ‘도의원들이 무식하면 무식한 대로 설득해야지’라고 하셨다”고 말했다.

한 의원은 “이런 발언은 아픔 있는 사람들에게 상처가 된다”며 “공직자는 공감과 품격의 언어를 선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태흠 지사의 언행이 단순한 실언이 아니라, 공직자의 언어 윤리를 무너뜨린 행태라는 지적이었다.

김태흠 “생긴 대로, 제 스타일대로 갈 것”…논란 자초

김 지사는 “(수해 복구 중 유럽 출장을) 외유성이라 단정했다”며 “세월호 발언도 맥락을 빼고 말한 것”이라고 해명하며 “당시 국회의장이라면 유가족 건강을 위해 집회 허가를 안 했을 것이라는 취지였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어 “저는 생긴 대로, 제 스타일대로 가겠다. 도민이 판단할 일”이라며 “정치하는 사람은 소신과 철학을 가져야 하고, 누구나 색깔이 있다”고 맞받았다.

하지만 이런 발언은 오히려 논란을 확산시켰다. 국정감사장에서조차 도정의 품격보다 ‘김태흠식 정치 언어’를 앞세운 셈이다.

신정훈 위원장은 “거슬리는 말이 많지만 그냥 넘어가겠다”고 했지만, 회의장은 이미 싸늘했다.

이해식 의원 개인 페이스북 갈무리. 

“도지사 개인 사비처럼 예산을 말할 수 있나”

이후 이해식 의원(서울 강동구을)은 지천댐 반대 김돈곤 군수의 예산 삭감 지시 발언을 거론하며 “도지사 개인 사비처럼 예산을 말할 수 있나”라고 따졌다.

김 지사는 “앞뒤가 틀리다. 군수가 약속을 지키지 않아 그런 말을 한 것”이라며 “실제 예산은 빼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이에 이 의원은 “횡설수설이다. 어쨌든 삭감 지시가 있었다는 게 핵심”이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김 지사가 “약속을 안 지켜서 한 말”이라 재차 반박하자, 이 의원은 “그렇다고 군 예산을 빼라니, 주머니 쌈짓돈인가”라며 고성이 오고갔다.

이 의원은 김 지사에게 “아까 답변도 ‘내 마음대로 하겠다’는 식이었다”며 “이 자리는 지사 개인 인생 항로가 아니라 공직자로서 책임을 묻는 자리”라고 질타했다.

김 지사는 “의원들이 싸우러 온 것 같다. 과거 발언 앞뒤 다 빼고 말하면 내가 어떻게 받아들이냐”고 답변했다.

이 의원이 “공적 마인드가 없으면 어떻게 하나”고 재차 질타하자, 김 지사는 “공적 마인드 없이도 여기까지 왔다. 걱정하지 말라”고 냉소했다.

회의장을 정리한 신정훈 위원장은 “질의는 충분히 지적할 수 있는 일”이라며 “지사님은 피감기관의 기관장이라는 점을 명심해 달라. 의원들도 국민을 대표하는 분들”이라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