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내란동조 의혹..행안부 진상조사 나선다
민주당 내란특검 특위, 부화수행 정황 확인 윤호중 "행안부 자체 진상조사 시행" 이장우 시장 내란 당일 발언과 행적, 재조명
행정안전부가 12·3 비상계엄 당일 대전시를 포함한 일부 지방자치단체의 계엄 동조 의혹을 직접 조사한다.
윤호중 행안부 장관은 12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민주당 내란특검대응특위의 행안부 자체 감찰단 구성 요청이 있었다"며 "12·3 비상계엄 당일 일부 지자체의 가담 의혹과 관련해 행안부가 자체 진상조사를 실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더불어민주당 내란특검대응특별위원회(내란특검 특위)는 지난 10일 보도자료를 내고 서울시와 대전시, 충북도, 부산시 등의 비상계엄 당일 조치 등을 언급하며 행안부 차원의 자체 감찰단 구성을 요구했다.
내란특검 특위는 “서울시는 청사 출입문을 폐쇄하고 출입자를 통제하라는 행안부 지시가 내려지기 약 40분 전, 산하 유관기관에 이 사항을 전달했다”며 “충북도와 대전시도 기초지자체에 지시 사항을 전달했다는 내용의 자료를 국회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또 이들은 “부산시는 2024년 12월 3일 밤 11시 20분 청사를 폐쇄했다고 뒤늦게 인정했다”며 “내란 세력의 지침에 적극적으로 동조한 부화수행”이라고 지적했다.
윤 장관은 “철저한 진상 규명은 12·3 불법 비상계엄 사태의 재발을 막는 첫걸음이자, 국민적 의혹 해소의 첫 단추를 끼우는 일"이라며 "한 점의 의혹도 남지 않도록 신속하고 철저하게 조사해 국민께 보고드리겠다"고 말했다.
대전시는 12·3 비상계엄 선포 당시 당직실을 통해 행안부 지침을 전달받고, 이날 오후 11시 30분부터 이튿날 오전 2시 15분까지 공무원을 제외한 민간인 출입을 통제했다.
시 운영지원과 관계자는 "청사 폐쇄는 없었고, 청원경찰이 신분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출입 통제 조치를 했었다"며 "기초지자체에 행안부 지침을 전달한 것은 상하관계 차원에서 시가 중간기관이라고 판단하고, 구에 전파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장우 대전시장은 ‘12·3 내란’ 당일 오전에 열린 확대간부회의에서 “최근 대한민국 국회가 헌정사에 볼 수 없는 폭거를 자행하고 있다”며 “국회를 해산시켜야 할 만큼 최악의 상황으로 가고 있다”고 주장했다. 윤석열의 비상계엄 선포 이유와 유사한 주장이다. 긴급 간부회의는 부시장이 주재하고, 계엄선포 후 다음날 아침에야 시청사에 출근하는 등 행적에 대한 논란도 불거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