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적우수자를 위한 '특별반'의 그림자
[탐사기획] 공주 유명 사립고등학교의 이상한 교육
공정과 신뢰는 교육의 근간이다. 하지만 공주시에 위치한 사립 A고의 ‘성적우수자 특별반’ 운영을 둘러싼 의혹은 그 근간을 흔들고 있다. 특정 학생들에게만 제공된 특혜와 이를 방조한 듯한 학교의 태도가 그렇다. <디트뉴스>는 출결·수행평가·생활기록부·특별활동·시험지 요구 등 다양한 사례와 관련 정황을 추적하며, 이를 가능하게 한 학교 운영의 구조적 문제를 짚어본다. 이번 사안은 단지 한 학교의 일탈이 아닌, 지역 교육의 신뢰성과 형평성, 나아가 고교 서열화의 단면을 보여주는 상징적 사건이다. 학생 간 차별의 실태와 그 배경을 사회적 맥락에서 조명하고하고자 한다. 총 5편으로 구성된 이 기획은 내부 증언과 자료, 전문가 분석을 바탕으로 특별반의 실체를 재구성하고, 제도적 대안을 함께 모색한다. 이제 학교는 ‘누구를 위한 공간’이어야 하는지, 다시 질문할 때다.
① 성적우수자를 위한 '특별반'의 그림자
② 기준은 있었을까..조작된 수행평가와 생기부
③ 학교의 주인은 학생일까, 사학재단일까
④ 교사들이 침묵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
⑤ 공정한 교육의 조건 <끝>
공주A고등학교에서 수년간 운영된 ‘소망반’은 단순한 성적우수자 특별반이 아니었다. 특정 학생을 위한 배려는 교실 안을 넘어 교무실과 교장실로 이어졌고, 교육의 가장 기본이라 할 수 있는 공정성과 중립성은 조용히 허물어졌다.
<디트뉴스>는 복수의 교사들과 심층 인터뷰, 관련자 증언 등을 바탕으로 우월반 운영의 실체를 확인하고, 그것을 가능케 한 폐쇄적 학교 구조를 입체적으로 살펴봤다.
성적도, 기록도, 교칙도…소망반 앞에선 ‘예외’
서답형 시험에서 만점에 조금 못 미치는 점수를 받은 소망반 학생의 학부모가 이의 제기를 하자, 보직 교사는 점수를 상향 조정했다.
학부모가 보직 교사에게 '교육청에 채점 기준의 타당성 심의를 요청하겠다'는 내용의 메시지를 보내자, 해당 학생의 점수가 만점으로 변경됐다.
이 사건이 단순한 점수 정정이 아닌 이유는 이와 비슷한 사례가 지속적으로 반복됐기 때문이다. 소망반의 일부 학부모가 유리한 입시를 위해 학교 측에 교육과정 변경을 요구했다는 증언도 나왔다.
“소망반 아이들만 따로”… 생기부 분량 수정 지시도
교사 B씨는 생활기록부 작성 당시 겪은 압력도 증언했다.
“당시 학년부장이 소망반 학생들 이름만 기재된 엑셀 파일을 돌렸고, 1학기와 2학기 분량을 맞추라는 지시가 내려왔습니다. 명확한 내용 지시는 없었지만, 사실상 생기부 외압이었죠.”
그는 “생활기록부는 해당 교사만 수정할 수 있고, 수정은 절대 강제가 불가능한 영역”이라며 “이건 대통령이 바꾸라고 해도 못 바꾸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교장이나 부장이 직접 지시하지 않았더라도, 조직적으로 움직인 정황이 뚜렷하다”고 덧붙였다.
학교장 생일엔 ‘값비싼 선물’…관리자 향한 조직적 선물
교육의 일탈은 학사 운영을 넘어 구태적 ‘선물 문화’로 이어졌다. A고에는 다른 학교에서 찾아보기 힘든 ‘정책 홍보팀’이라는 별도의 팀이 있다. 소위 학교장과 상급 교사의 총애를 받는 교사들로 구성된 집단이다. 이 같은 선물 문화는 정책홍보팀을 주축으로 이뤄졌던 것으로 파악된다.
실제 보직 교사는 몇몇 교사에게 학교장의 생일과 명절이 되면 ‘선물해야 된다’는 식으로 은근한 압박을 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5월 교장의 생일에는 학교 내 정책홍보팀이 얼마 씩을 걷어 명품을 선물했다.
“그 반 아이들은 달랐다”…교칙 무력화, 입맛 따라 운영된 반편성
소망반 운영 기준에 대한 문제제기도 이어진다.
“선발 기준이 공개된 적도, 명확했던 적도 없어요. 성적이 더 높은 아이가 소망반에 들지 못하고, 징계 이력·기숙사 음주·흡연 적발 학생이 남아 있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특히 교사들은 “행실을 이유로 일부 학생을 탈락시켰다고 하면서도, 그보다 더 문제가 있었던 학생은 남겼다”며 운영 기준이 ‘교장과 관리자 입맛’에 따라 달라졌다고 증언했다.
C 교사는 “우리 반 학생이 성적으로 더 높은데 떨어졌다. 그 이유가 ‘벌점’이라고 했는데, 소망반에 있던 애들도 행실이 좋은 건 아니었다”고 했다.
“이 학교는 학교가 아니다”… 사조직화된 홍보팀, 침묵 강요된 교사들
소망반을 실질적으로 관리했던 것은 앞서 언급한 ‘정책홍보팀’이라는 내부 사조직이었다. 보직 교사가 실무를 맡아, 특정 교사들을 중심으로 선발과 운영이 이뤄졌다.
이 팀은 외부적으로는 교내 소식지 발간 등 홍보 업무를 맡았지만, 실제로는 교장 중심의 권력 체계를 강화하는 수단으로 활용됐다는 증언이 줄을 잇는다.
“이 학교는 학교가 아니라 회사입니다. 상급 교사가 ‘수직 구조의 조직으로 바꿔야 한다’고 공공연히 말했어요. 선생님을 관리 직원으로 보겠다는 거죠.”
교사들은 문제 제기를 할수록 알 수 없는 이유로 조퇴·외출 반려, 업무 배제 등 ‘유치한 괴롭힘’이 뒤따랐다고 털어놓는다.
현재 충남도교육청은 관련 사항에 대해 감사를 진행 중이다. 감사가 시작된 후 소망반 운영은 멈춘 것으로 알려졌지만 자습 위주로 방식만 변경한 제2의 소망반 운영을 위한 논의가 내부에서 이뤄진 것으로 확인됐다.
사립학교라는 특성상 인사권과 예산 집행 권한은 학교법인에 있어 교육청의 감사가 학교의 진정한 변화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이와 관련해 <디트뉴스>는 학교의 입장을 듣기 위해 연락을 취했으나 “지금 업무를 보면서 계속 기자들 전화 받고 있고 감사를 받고 있어서 상황이 힘들다”는 답변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