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KPS '작업 재개' 지시 철회..노숙 농성 하루만

한전KPS, 트라우마 당사자와 협의 없는 '업무' 지시 故김충현 대책위 '노숙 농성'으로 대응..요구 관철

2025-07-05     김다소미 기자
태안화력발전소 내 건물에는 '생명과 안전존중은 경영의 최우선 핵심가치'라는 글귀가 적혀있지만 현장 실상은 정반대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김다소미 기자. 

한전KPS가 故김충현 노동자 동료들에게 지시했던 ‘작업 재개’ 지시를 철회하고 관계 노동자들의 집중 치료 제반 비용도 지급할 것을 약속했다.

앞서 한전KPS는 지난 3일 고인이 사망했던 태안사업처(태안화력발전소)에 ‘1차 트라우마 치료 기간 종료 및 작업재개 시행 알림’이라는 제목의 공문을 보내 ‘2차 트라우마 치료는 정상 출근해 업무수행 재개 이후 하도급 계약에 따른 업무의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서 치료 참여가 가능하다’며 트라우마에 노출된 당사자들과 협의 없는 ‘복귀 명령‘을 지시했다.

이에 태안화력 고 김충현 비정규직 노동자 사망사고 대책위원회는 “시스템이 변하지 않은 상황에서 또 다른 참극을 불러올 수 있다”며 “사측과 고용노동부는 이미 지난달 약속한 트라우마 치료 기간을 준수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고 김충현 노동자 사고 이후 대책위는 고용노동부 산하 안전보건공단과 6월 말부터 집단 및 개별 상담을 본격적으로 진행중이다. 치료는 5단계 구조로 5주 이상 진행되는 전문 과정으로 동일한 일터 복귀에 대한 시점은 당사자들의 상태를 고려해 결정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사측은 일방적인 작업 재개를 요구했다.

대책위는 4일 오후부터 5일 새벽까지 고용노동부 서산출장소 측과 면담과 농성을 통해 즉각적인 작업중지 요청을 위한 행정 조치를 촉구했지만, 서산출장소 측은 사측을 비호하는 발언으로 또 다른 공분을 산 바 있다.

대책위는 5일 오후 서산출장소 앞에서 추가 규탄집회를 열고, 한전KPS의 작업 재개 철회를 이끌어냈다.

한전KPS는 이날 저녁 6시께 태안사업처에 ’긴급 직업 트라우마 집중치료 요청‘이라는 제목의 공문을 발송해 1차 공문 동일부 취소를 명시하고 관계 노동자가 치료에 전념할 수 있도록 후속조치를 취해달라고 요청했다.

특히 치료 기간 임금 등 근로조건, 복리후생 조건에 불이익이 없도록 하고 한전KPS를 비롯해 고인이 몸담았던 한국파워오앤엠(하청업체), 삼신은 기존 서산출장소의 트라우마 집중 치료에 따른 각종 제반 비용을 지급하겠다고 약속했다.

대책위 관계자는 “회사가 위와 같은 사안을 불이행한다면 고용노동부가 행정명령과 작업중지명령 등으로 지도 하기로 했다. 사실상 대책위의 모든 요구가 관철됐다”며 “한전KPS 동지들의 단결된 투쟁과 함께 해주신 모든 연대 동지들의 힘으로 쟁취한 값진 승리”라고 말했다.

한편 대책위의 노숙 농성은 끝냈지만 중대재해처벌법과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관련 고발과 안전한 일터 쟁취, 발전소폐쇄대책 마련 등 대정부협의체 관련 투쟁은 계속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