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방산·우주’ 내건 이재명, 과학수도 대전 탄력받나
윤 정부 패착, R&D 예산 복구·증액 약속 대덕특구 강점, AI·우주 선점 경쟁 예상
이재명 정부의 ‘AI·방산·우주산업 육성’ 전략이 ‘과학수도 대전’ 위상 강화로 이어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이 대통령은 선거 기간 내내 대전을 한 차원 높은 ‘과학수도’로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지난 윤석열 정부 패착으로 꼽히는 연구개발(R&D) 삭감 예산을 복구·증액하겠다는 것이 대표적이다. ‘과학계 카르텔’로 낙인찍혀 자긍심에 상처를 입고, 보릿고개까지 겪었던 지역의 연구 기관, 인력도 한시름 놓게 됐다.
10대 공약 중 최우선 공약인 ‘AI 세계 3대 강국 도약’은 전국 지자체가 노리고 있는 공약으로 꼽힌다. 앞서 이 대통령은 광역별 공약을 통해 대전(AI·우주산업)~세종(스마트행정)~충북(바이오·반도체·이차전지)~충남(디스플레이)을 잇는 유기적인 첨단산업벨트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대전 대덕연구특구는 AI와 우주산업 중심지로 키울 것”이라고도 약속했다.
다수 지자체도 이같은 방향에 발맞춰 관련 공약 반영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그 결과, 광주는 AI 국가 시범도시 추진’ 사업, 대구는 ‘대한민국 인공지능(AI) 로봇 수도 육성’ 사업, 경기도는 수원에 반도체·인공지능(AI) 초격차 혁신 클러스터 조성 지원 약속을 공약집에 포함시켜 약속받았다.
10대 핵심 공약에 포함된 ‘K-방산 글로벌 4대강국(G4)’도 기대감을 높이는 공약 중 하나다. 앞서 이 대통령은 민주당 대선 후보 경선 과정에서 일찌감치 대전에 위치한 국방과학연구소(ADD)를 방문해 ‘AI 첨단기술로 무장한 K-방산’ 구축을 약속했다.
10대 공약서에도 방위산업 육성을 위한 범정부적 지원체계를 담았고, 국방과학연구소 원천기술 민간 지원 확대 등을 명시했다. 방산 스타트업 육성, 방산 병역특례 확대 등 방산 기업·인재 육성도 이미 방사청 이전이 이뤄지고 있는 대전시 입장에서 기대되는 공약이다.
우주·항공 공약 경남 치중, 경쟁 구도
우주항공 분야는 대선 공식 선거운동 기간 지역 간 선점 경쟁이 벌어지며 이슈로 떠올랐다. 우주클러스터 3축에 해당하는 대전과 경남이 신경전을 벌이는 등 이미 경쟁 구도를 형성했다.
이 대통령은 이번 대선에서 “우주·항공·방위산업을 대한민국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대전은 발사체, 위성체, 지상장비 등 우주산업 전반의 R&D 확대 공약 수혜를 입을 것으로 전망된다. 시가 최근 관련 정부 특구 공모 사업에 잇따라 선정되는 등 기반 마련에 청신호가 켜진 만큼, 정부의 적극적 연구개발 지원이 더해지면,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반면, 이번 대선 정국 최우선 전략으로 '우주항공 중심 산업 도약'을 선택한 경남은 대선 기간 구체적인 약속을 받아냈다. 이 대통령은 경남에 사천 우주항공청사 조기 건립, 사천 우주항공복합도시 건설 지원, 전남 고흥 발사체 산업 발전, 우주항공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기관 설립 검토 등을 공약했다.
이밖에 이 대통령이 약속한 대전 지역 공약은 ▲광역교통망 조기 완성 및 CTX-A 광역철도 추진 ▲도심 연결도로 및 수소트램 조기 완성 ▲글로벌 테크아트 허브 구축을 통한 신한류 중심 육성 ▲대전시민의 삶의 질 향상 ▲3대 하천 및 갑천 월평 습지 자연생태 보전 및 녹지 조성 ▲서대전역 복합환승센터 개발 등이다. 5개 자치구 세부 공약 29개도 별도 약속했다.
시 관계자는 “대통령 공약과 연계 가능한 시 사업을 발굴해 국정과제로 추진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며 “대통령 공약에 포함된 발전 과제, 자치구 현안 등을 살펴 구체화한 뒤 건의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