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 장기화' 대산석유화학단지, 국세·지방세 급감

국세 2년 만에 90.9%↓ 지방세도 50% 이상 감소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총력, 정부 대응 촉각

2025-06-05     김다소미 기자
대산석유화학단지. 디트뉴스DB. 

석유화학 산업의 불황이 장기화되면서 충남 서산시의 ‘대산석유화학단지’의 국세 납부액이 지난해 0.16조 원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2년 1.77조 원에 비해 90.9%가 감소한 규모다. 기업의 실적 부진이 지역 경제까지 흔들고 있는 상황이다.

대산석유화학단지는 울산광역시, 전남 여수시와 함께 국내 3대 석유화학단지의 한곳이다. HD현대오일뱅크, 한화토탈에너지스, 롯데케미칼, LG화학, KCC, 코오롱인더스트리 등 석유화학 관련 업종의 50여개 기업이 입주해있다.

충남도와 서산시는 행정·제도적 지원을 위해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을 통한 대응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달 초 정부는 전남 여수만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했는데 석유화학 업계의 위기가 글로벌 추세에 따른 외부 영향인 만큼, 지자체와 기업의 대응만으로는 한계가 분명하기 때문에 정부의 즉각적인 대응책 마련이 요구된다.

지속되는 위기, 신산업 전환 움직임도


최근 석유화학 산업은 수요 둔화, 중국·중동발 과잉 공급으로 시장 수요 감소가 이어지고 있다. 중국은 주요 수출처였지만 최근 생산 설비를 늘려 자급률을 100% 가까이 끌어올리고 저가 물량공세를 펼치고 있어 대산산단의 타격이 상당한 상황이다.

이에 업계의 신규 투자는 거의 전무하며 에탄 소재 전환 등 원가절감을 추진중이다. LG화학은 최근 여수시 사택을 통폐합 또는 매각하며 비용 절감에 나섰고 SK이노베이션은 비상경영에 돌입해 사장단 연봉의 최대 30%를 반납하기로 했다.

지역 내 대규모 산업단지의 실적부진에 따른 지역 경제도 심각한 상황이다. 국세는 물론 지방세도 50% 이상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세 납부액은 2023년 665억 원에서 2024년 291억 원으로 줄었다.

현재 도는 산업연구원, 충남테크노파크, 시와 협업해 위기 실태를 분석하고 산업통상자원부에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을 위한 신청서 접수를 위해 협의중이다. 이달 말쯤 제출될 것으로 보이며 산업부 현장실사와 심의위원회 대응을 연이어 준비한다.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되면 고용유지지원금으로 1인 6만 6000원(1일)이 지원된다. 대출 만기연장과 원금상환 유예는 물론 우대보증비율 확대와 보증요율 감면도 기대된다. 

이와 별도로 분산에너지 특구 후보지 지정과 관련해 후속조치도 추진한다. 대산석유화학단지는 지난달 최종 후보지 전국 7개소에 선정됐는데 최종 선정 시 기업 전기요금은 연간 150~170억 원 절감될 것으로 예상된다. 에너지위원회의 최종 의결을 앞두고 있다. 

도 관계자는 "현재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을 위해 구체적인 내용을 관련 기업, 지자체와 협의중에 있다"며 "협의회를 구성해 기업의 위기를 함께 극복할 수 있도록 준비중"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