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천댐, 주민 협의체 통해 계속 논의 정부안' 충남도 적극 동의
환경부 후보지 9곳 확정... "공감대 형성 따라 건설 추후 결정" 도 "협의체 통한 충분한 소통 바탕으로 관련 향후 절차 진행
정부가 12일 제1차 하천유역수자원관리계획을 의결한 가운데 지천댐은 '추가 결정 후보지안'에 포함했다.
환경부는 9개 후보지는 건설을 확정했지만, 충남 청양군 지천댐과 전남 화순군 동복천댐 등 2개는 주민 협의체를 꾸려 후추 논의를 계속키로 했다다.
주민 동의 여부에 따라 건설을 하지 말지를 결정하겠다는 것이다.
충남도는 이번 반영에 대해 적극적인 동의를 밝히며, 조속한 시일 내 협의체를 구성해 지역 주민과 충분히 소통하며 향후 절차를 진행해 나가겠다는 입장이다.
정부가 이날 의결한 수자원관리계획에 따르면 환경부는 지천댐(청양·부여)을 기후대응댐 후보지 안으로 반영했다.
후보지 안 반영에 따라 지천댐은 도가 주관해 청양군, 부여군, 지역 주민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하고, 협의체를 통한 추가 논의 후 공감대가 형성되면 후속 절차를 추진하게 된다.
협의체 논의 결과를 토대로 기본구상 용역을 추진하고, 이를 통해 검토된 다양한 대안을 논의한 후 후보지 지정 여부를 결정한다는 계획이다.
도는 환경부의 이번 후보지안 반영이 가뭄·홍수 반복 등 지역적 상황을 고려한 것으로 보고, 적극 동의한다는 입장이다.
지천댐이 후보지안에 담긴 만큼, 찬·반 주민과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조속한 시일 내 구성한다는 방침이다.
김영명 도 환경산림국장은 “협의체를 통한 충분한 소통을 바탕으로 지천댐 관련 향후 절차를 진행해 나아갈 것”이라며 “지천댐 건설이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청양·부여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김태흠 지사는 지난 6일 기자회견을 통해 “지천은 지형적인 여건과 풍부한 수량으로 물을 담수할 수 있는 최적지고,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할 유일한 대안”이라며 “단순한 물 관리를 넘어 주거·산업·농축산·관광 등 충남의 미래 100년을 책임질 반드시 필요한 사업”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지천댐은 청양군 장평면과 부여군 은산면 일원에 저수용량 5900만㎥ 규모로 건립한다는 계획이다.
이는 예산 예당저수지(4700만㎥)나 논산 탑정저수지(3100㎥)보다 큰 용량으로, 본격 가동 시 공급 가능한 용수는 하루 38만 명이 사용할 수 있는 11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