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활섭 "대전시 에너지 자립 위해 초광역 협력 필요"

낮은 전력 자급률, 친환경 에너지 수급 대안 제시 "충남, 재생에너지 잠재력 풍부"

2025-02-10     유솔아 기자
송활섭 대전시의원이 ‘초광역 협력’을 통한 시의 에너지 자립을 촉구했다. 디트뉴스 DB.

송활섭 대전시의원(무소속·대덕2)이 ‘초광역 협력’을 통한 시의 에너지 자립을 촉구했다. 

송 의원은 10일 제284회 임시회 1차 본회의 5분 발언에서 "충청광역연합의 에너지 초광역 협력은 시가 직면한 전력자급률 문제와 RE100을 해결하는 명확한 대안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지난해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이 시행됨에 따라 점차 도매·소매 전기요금이 지역별 차등 적용될 예정이다. 시의 경우 전력자급률이 2.9%에 불과해 전기요금 폭등이 우려되는 실정. 

이와 함께 글로벌 기업이 RE100(기업이 사용하는 전력량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 달성을 목표로 하는 상황에서, 시가 기업 유치 및 산업 경쟁력을 확보하려면 친환경 에너지 공급체계를 갖춰야 한다. 

송 의원은 "최근 시가 2037년 전력자립도 102%를 내세우며 교촌 국가산단에 500MW급 친환경발전소 4기를 건설하고, 관련 기관과 RE100 지원체계를 구축한다고 했다"면서도 "다만 대규모 전력 수요 증가와 기업의 친환경 요구를 충족하기에 한계가 분명하다"고 말했다. 

그는 ‘초광역 협력’을 해답으로 제시했다. 

송 의원은 “충남은 해안가를 중심으로 풍력,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잠재력이 풍부하다”며 “최근 한 보고서에 따르면 충남이 재생에너지를 과감히 확대할 경우 2050년까지 전력자립률 150%까지 높일 수 있다는 전망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대전과 충남이 초광역으로 협력한다면, 시의 낮은 전력자립도와 RE100 요구라는 이중과제를 동시에 풀어낼 수 있을 것”이라며 “이미 광주는 호남권, 제주와 초광역 그린에너지협력 벨트 구축 계획을, 부산과 울산, 경남은 수소배관 등 공동구매를 통한 상호 보완 에너지 협력을 강화했다”고 강조했다. 

송 의원은 “지난해 12월 충청광역연합 특별지자체가 출범해 초광역 협력 기틀은 마련됐다”며 “초광역 교통망 구축과 산업 육성 등 주요 광역사무에서 한발 더 나아가 에너지 분야를 핵심협력 의제로 삼는다면, 시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