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초·재선, '탄핵 반대' 당론에 "우린 개별적 헌법기관"
국회 소통관 기자회견 “尹, 비상계엄 선포로 권위·신뢰 모두 잃어” 대통령 사과, 임기단축 개헌 등 제안
국민의힘 초·재선 의원 5명이 윤석열 대통령 사과와 임기단축 개헌을 제안했다. 이들 중 일부는 지난 4일 국회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 표결에도 참여한 것으로 알려져, 향후 탄핵안 표결 시 변수로 작용할 공산이 크다.
재선 김예지, 초선 김재섭·김상욱·김소희·우재준 의원은 5일 국회 소통관서 기자회견을 열어 “대통령은 민주주의 유린 역사와 인권 탄압의 트라우마를 겪었던 우리 국민에게 씻을 수 없는 상처를 줬다”며 “대통령과 여당이 어떤 명분을 가지고 온다 하더라도 이번 비상계엄을 합리화 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대통령은 이번 비상계엄 선포로 국민에게 권위와 신뢰를 모두 잃었다. 냉정한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며 △대통령 비상계엄 선포에 대한 진실된 사과 △책임 있는 사람에 대한 신속한 조사와 처벌 △대통령 임기단축 개헌을 제안했다.
또한 “탄핵으로 인한 국정 마비와 국론 분열을 막기 위해서라도 반드시 필요한 조치”라며 “우리는 진정한 국민의힘으로 국민만 바라보며 함께 가겠다”고 강조했다.
‘탄핵 반대’ 당론에 “개별적 헌법기관, 추가 합류 가능”
이들은 기자회견 직후 취재진과 만나 ‘오는 7일 탄핵안 표결’과 관련해 “구체적인 입장을 정한 상황은 아니”라며 “이번 사태를 풀어가는데 항상 뜻을 같이 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어 “추가로 (합류)할 분이 있다”며 “대통령 임기 단축 개헌을 주장한 것은 지금 현실이 굉장히 엄중하고, 국민 분노와 불안이 굉장히 큰 상황이기 때문에 이 정도를 주장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책임감의 발로”라고 부연했다.
‘탄핵 반대’ 당론과 관련해선 “저희는 개별적 헌법기관”이라며 “당론을 종합 고려해야겠지만, 아직 어떤 가정에 기초한 대답을 드릴 수는 없다”고 일축했다.
한편, 탄핵안 가결은 재적의원 3분의 2 이상 찬성, 즉 300명 기준 200명이 찬성해야 한다. 범야권 의석은 192석으로 최소 여당 이탈표 8표가 나와야 한다.
사상 유례없는 위법·위헌적 비상계엄 사태에 여당 의원이 얼마나 동참할지 국민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