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폐기로’ 비상계엄 사태에 혼란스런 충남 지방정치
충남 與기초의원 '尹 탈당' 촉구 목소리 키울까 시간 여유 있는 '지방선거' 이번 사태 영향 미치나
윤석열 대통령이 일으킨 비상계엄 사태가 대통령의 탈당 또는 출당 가능성을 끌어올리는가 하면 당의 존폐까지 위협하면서 당장 내후년 지방선거를 정조준했던 충남 여당 소속 기초의원 대부분 혼란에 휩싸이는 모양새다.
특히 충남은 줄곧 윤 대통령의 고향이자 정치적 자산으로 인식돼 왔기에 미묘한 긴장감이 흐르고 있다.
박정수 도의원(국민의힘·천안9)처럼 실명 공개과 더불어 이번 사태 당사자의 책임을 촉구하는 정치인이 있는가 하면, 익명을 전제해야만 입장을 밝히겠다는 의원도 있어 여당 내부는 양분된 것으로 보인다.
충청권 정치 전문가들은 이번 비상계엄 사태 여파가 차기 지방선거까지 이어지진 않을 것으로 보면서도 최근 충남과 대전에서 불었던 ‘행정통합’ 의제에는 영향을 끼칠것으로 분석했다.
“여당, 최소 ‘대통령 제명’ 결정해야 민심 얻을 수 있어”
권오철 중부대학교 교수는 <디트뉴스>와 통화에서 “대통령이 국민과의 전쟁을 선포한 것”이라면서도 “다음 지방선거까지 시간적 여유가 있기 때문에 국민의힘이 어떻게 수습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권 교수는 “대신 국민의힘이 지금 탈당을 요구할 게 아니라 (최소) 제명을 할 수 있을 정도의 각오가 필요하고, 그 정도의 조치가 있어야 국민이 납득할 수 있다. 그 반응이 지방선거에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강조했다.
권 교수는 이어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를) 하면서도 (참모들과) 상의를 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다. 제명까지도 예상했을 것”이라며 “제명 요구를 받아들일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특히 최근 김태흠 충남지사와 이장우 대전시장이 선언한 ‘대전·충남 행정통합’도 일종의 정치적 이벤트로 해석한다면 “지방행정이 중앙정치에 좌지우지 돼선 안되지만 두 사람이 그동안 대통령과 기조를 맞춰왔기 때문에 분명한 흐름의 변화는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대통령 탄핵·탈당 등 변수..“대권 잠룡이라면 소신 발언할 것”
최호택 배재대학교 교수는 향후 중앙 정치권에서 대통령의 탄핵과 탈당 등 다양한 시나리오가 나올 수 있음을 전제하며 “현재 충청권 정치 상황에 엄청난 걸림돌로 작용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 교수는 “험난한 길이 예고돼 있기 때문에 여당 쪽에서 큰 부담을 안고 갈 것 이고 지방선거에서도 분명한 영향은 끼칠 것”이라며 “충청권 4개 시·도지사가 모두 친윤계로 분류될 만큼 가까웠는데 이번 비상계엄 사태 이후 변화를 보여줄 것으로 본다”고 내다봤다.
최 교수는 이어 “자치단체장은 정치인 보다는 행정가에 가까운 역할이다. 행정은 현재 중앙 주도권을 쥐고가는 세력과 동조하지 않으면 도움을 못 받는 구조이기 때문에 중앙 세력이 어떻게 움직이냐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만약 충청권 시·도지사 가운데 소위 대권에 관심이 있었거나 스스로 잠룡에 속한다고 판단하면 (대통령과) 대립각을 세우는 등 소신 발언을 했을 것”이라며 “현재 그런 입장은 모두 아닌 것으로 파악된다.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대세에 편승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일부 기초의원의 ‘대통령 탈당’ 요구에는 “자치단체장과 달리 완벽한 정치인이기 때문에 다양한 목소리를 낼 수 있는데 이게 모아지면 어떤 파급력을 가질지 가늠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한편 익명을 요구한 충남도의회 유력 여당 소속 정치인은 본지와 통화에서 “충남을 방문한 다음날 계엄령을 선포했다. 매듭짓지 못한 가정사로 공격받는다고 해서 후폭풍을 생각도 안하고 이런 일을 벌일 줄 몰랐다. 탈당해야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