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계엄 시각 온도차… 이장우 “행정·입법권력 남용 안 돼”
정치권 향해 정쟁 중단, 민생 챙기기 촉구 여야 막론 자치단체장 반발 분위기 '온도차'
이장우 대전시장이 밤 사이 벌어진 비상계엄 선포·해제 사태와 관련해 행정·입법권력, 정쟁 중단 등을 언급하며 사실상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해 중립적인 입장을 보였다. 전국 대다수 단체장들이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는 것과는 다른 온도다.
이 시장은 4일 오전 담화문을 내고 “지난밤 비상계엄령 선포로 대전시민 여러분의 불안과 걱정이 크셨을 것”이라며 “오늘 새벽 국회에서 계엄 해제 요구안이 의결되고, 국무회의를 거쳐 최종 수용됨에 따라 계엄은 해제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국정 혼란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한다. 수십 년간 성숙 돼 온 자유민주주의가 위협받고 있다”며 “행정 권력도, 입법 권력도 절대로 남용돼선 안 되며 제한적으로 절제돼 사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 선포, 그 배경으로 언급한 대통령 탄핵 소추 등 국회 운영을 모두 비판하며 사실상 중립적인 입장에 선 발언으로 읽힌다.
또 이 시장은 "여야 정치권도 헌법을 준수하며 정쟁을 중단해야 한다”며 “국민을 위해 민생을 챙기는 데 전력해 주시길 촉구한다”고도 말했다.
시민을 향해선 "걱정을 내려놓으시고 일상으로 돌아가 정상적인 생업에 종사해 주시길 바란다", 공직자를 향해선 "시민 불편이 없도록 업무에 전념해달라"고도 당부했다.
전국 자치단체장 여야 막론 '비상계엄 선포 반발'
비상계엄 선포 직후 전국 자치단체장은 여야를 막론하고 반발 의견을 공식 표명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이제 윤석열 대통령은 '탄핵 대상'이 아닌 '체포 대상'"이라며 날을 세웠고, 강기정 광주시장과 김영록 전남도지사도 "일순간 무너진 민주주의의 탑", “군사정권 시절로 후퇴했다” 등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여당 소속인 오세훈 서울시장과 박형준 부산시장도 이날 새벽 즉각 비상계엄 반대 입장을 밝히며 “계엄은 철회돼야 한다”, “국민이 지켜온 민주주의에 결코 후퇴가 있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또 김태흠 충남도지사은 윤 대통령을 향해 “헌법 절차에 준수해 사회질서 유지와 국민 불안 해소를 위해 즉각적인 조치를 취해 주시기 바란다"며 비상계엄 해제를 촉구했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충정은 이해하나 경솔한 헤프닝이었다. 꼭 그런 방법밖에 없었는지 유감"이라는 입장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