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유등교 임시교량 개통 하세월, 후속 조치 질타

[행감] 김선광·김영삼 대전시의원 지적 “교통 체증 심각, 시민 불편 가중” 우려

2024-11-13     한지혜 기자
대전시의회 김선광(국민의힘, 중구3), 김영삼(국민의힘, 서구2) 의원이 13일 열린 산업건설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유등교 침하 사태와 후속 조치, 안전점검 미비 등을 지적했다. 대전시의회 제공.

대전시가 공언한 유등교 침하 후속 조치가 지연되면서 시민 불편이 커지고 있다. 오는 12월 말 준공을 약속한 임시교량 개통은 내년으로 미뤄질 전망이다.   

김선광 대전시의원(국민의힘, 중구2)은 13일 열린 제282회 제2차 정례회 산업건설위원회 철도건설국 행정사무감사에서 “시가 올해 12월 말 유등교 임시교량 개통을 약속했으나, 현재 착공조차 이뤄지지 않은 상황”이라며 “연내 개통을 약속하고 대대적으로 홍보했음에도 약속이 지켜지지 않은 점은 매우 유감스럽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긴급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특정 공법을 채택하면서 입찰 과정이 복잡해지고, 공사 기한이 짧아져 여러 시공사가 줄줄이 포기하는 상황도 발생했다”며” “행정절차 지연과 시공사 선정 문제로 인해 시민 불편이 계속되고 있는 만큼, 철저한 원인 분석과 개선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임시교량 설치 지연으로 인한 출퇴근 교통 체증을 언급하며 “시가 변수를 생각하지 않고 (임시교량 준공 계획을) 대대적으로 발표한 것은 성급한 것"이라며 “신속한 공사, 안전 확보를 통해 최대한 빠른 시일 내 교량이 개통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했다.

김영삼 대전시의원(국민의힘, 서구2)도 안전점검 미비와 교각 침하 사태 이후 시가 시행한 후속 조치가 미흡했다는 점을 집중 질타했다.

김 의원은 “유등교는 지난 2022년 정밀안전점검에서 B등급을 받았는데, 2년이 채 되지 않아 침하사고가 발생했다”며 “이는 안전점검을 제대로 하지 않은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김 의원은 “사고 후 시가 하상에 차단벽을 설치하는 등 조치를 했는데, 운동하는 시민, 통행자가 이를 다 치우고 다니는 모습이 언론에 보도됐다”며 “2차 사고 방지가 제대로 되지 않은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종명 시 철도건설국장은 “행정절차, 계약 일정이 지체돼 12월 말 개통은 사실 어렵다. 송구하다”며 “속도와 안전성을 감안한 시공을 선택해 주민 불편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답했다.

계백로에 설치된 유등교는 일평균 6만 4000대가 통행하는 대전의 주요 교량 중 하나다. 지난 7월 집중호우로 교량 상판이 침하해 내려앉으면서 통행이 전면 통제됐고, 시는 재가설을 결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