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스타벅스 로스터리 리저브 유치 '도마위'
[행감] 이병철 의원, 공공성 훼손·골목상권 침해 지적 시 "연말 내 매듭, 스타벅스 아니면 굳이"
지지부진한 옛 대전부청사 내 스타벅스 리저브 로스터리 매장 유치가 대전시의회 행정사무감사 도마위에 올랐다. 대전시는 연말 내 매듭짓겠다는 구상이다.
이병철 시의원(국민의힘·서구4)은 12일 행정자치위원회 소관 문화예술관광국 행감에서 부청사 내 스타벅스 리저브 로스터리 매장 유치 추진 현황을 질의했다.
노기수 문화예술관광국장은 이에 “9월 이후 진척된 상황은 없다. 스타벅스 코리아 본사 쪽에서 현장 실사를 하고 간 뒤 내부적으로 검토 중”이라며 “다만 시 역시 언제까지 기다릴 수도 없고, 굳이 기다릴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노 국장은 “시는 연말까지 명확한 입장을 달라고 얘기한 상황이고, 연말까지 어떤 형태로든 매듭을 지으려고 생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다만 스타벅스 코리아 측이 이를 최종 승인해주는 경우에도 난항이 예상된다.
시는 지난해 말 전시와 공연 등 복합문화공간으로 부청사를 활용하겠다는 계획을 세웠고, 이를 토대로 정부 중앙투자심사 조건부 승인을 받아냈다. '공공시설'이 아닌 '상업시설'인 스타벅스를 유치하게 될 경우 중투심을 재차 받아야할 가능성도 있다는 것.
이 의원이 “상업시설을 유치하게 되면 다시 심사를 받아야 하냐”고 묻자, 노 국장은 “전면적으로 공간을 많이 할애하게 된다면 다시 중투심사를 받아야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식음료 시설이 부대시설로 얼마나 많은 공간을 차지할지 여부가 갈릴 것 같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공공성과 역사성 훼손, 골목상권 침해 등 상업시설 유치로 생길 수 있는 문제도 언급했다. 특히 부청사 매입과 복원에 시비 440억 원이 투입되는 만큼, 시민 공감대 형성이 선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노 국장은 "부청사 인근 카페들이 많고, 대형 매장이 들어오기 되면 영향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며 "주변 상권에 미치는 영향, 최초 대전 시청사가 가진 역사성을 충분히 감안해 의사결정을 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스타벅스 리저브 로스터리처럼 국내 처음으로 들어오는 정도 파급력이 있다면, 검토할 여지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다만 그런 게 아니라면 굳이 역사성 있는 건물을 개인 상업시설로 이렇게 바꾸는 면에 대해서 부담을 가지고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시는 지난 7월부터 이장우 시장 지시에 따라 부청사 내 글로벌 커피체인점 스타벅스의 전세계 7번째 로스터리 리저브 매장 유치를 추진 중이다. 하지만 신세계 스타벅스 코리아 측이 최근 수익성 등을 이유로 어렵다는 입장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