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태안 체류인구, 원주민보다 10배 많다
전국 89개 인구감소지역 대상 생활인구 산정 결과 발표 ‘생활인구 67만 돌파’ 4~6월 모두 월 60만 넘겨 도내 1위 내년 보통교부세 산정 기준에 ‘생활인구’ 포함 호재
충남 태안군의 등록인구 대비 체류인구 비율이 10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2분기 기준으로는 전국 89개 인구감소지역 중 7위 규모다.
군은 행정안전부와 통계청이 전국 89개 인구감소지역에 대해 2024년 2분기 ‘생활인구’를 산정한 결과 ‘체류인구배수(등록인구 대비 체류인구의 비율)’가 △4월 10.6배(전국 4위) △5월 10배(전국 8위) △6월 9.7배(전국 7위)로 도내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고 5일 밝혔다.
올해 6월 기준 태안군의 생활인구는 △주민등록 인구 6만 517명 △외국인 2030명 △체류인구 60만 7965명 등 총 67만 512명으로 나타났다. 이중 체류인구 수는 4~6월 모두 각각 60만 명을 넘겨 도내 9개 인구감소지역 중 단연 1위다.
태안군 체류인구의 평균 체류일수 및 시간은 △4월 2.2일, 11.8시간 △5월 2.5일, 12.4시간 △6월 2.5일, 12.7시간으로 나타났다. 체류 시 평균 숙박일수는 약 2일로 집계됐다.
특히, 체류인구 중 경기도 등 타 시·도 거주자의 비중이 4월 81.5%, 5월 81.5%, 6월 80.6%에 달해 여름철 해수욕장 외 관광과 업무 등 사유로 태안을 찾거나 ‘5도 2촌’을 즐기는 체류인구가 늘어난 것으로 군은 분석했다.
군은 내년부터 정부가 지방자치단체에 배분하는 보통교부세 산정 기준에 ‘생활인구’를 반영키로 결정함에 따라 지역 예산 확보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군 관계자는 “생활인구는 지방소멸을 막기 위한 대안으로 최근 주목받고 있고, 정부도 지방자치단체에 배분에 이를 반영할 예정”이라며 “활력 넘치는 태안군을 만들기 위해 앞으로도 생활인구의 증가에 중점을 둔 인구정책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생활인구란 특정 지역에 거주·체류하면서 생활을 영위하는 자로 ‘주민등록인구’, ‘외국인 등록인구’, ‘등록지 이외의 시·군·구에 하루 3시간 이상 머문 날이 월 1일 이상인 자’ 모두를 포함한다. 즉, 정주인구 뿐만 아니라 일정 시간·일정 빈도로 특정 지역에 체류하는 자까지 지역의 인구로 본다는 개념이다.
행안부와 통계청은 주민등록·외국인등록 자료와 통신 3개사(SKT, KT, LG U+) 및 카드 4개사(신한, BC, 삼성, 하나), 신용정보사(KCB) 등 10개 기관의 자료를 가명결합 후 분석해 최근 결과를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