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예산군 ‘디지털 농업 선도’···국내 최초 첨단 농기계 센터 구축 ‘시동’

내년 산자부 '농기계 디지털 기술 R&D 지원센터' 공모 도전

2024-08-22     김다소미 기자
충남도와 예산군이 디지털 농업을 선도하고 모빌리티 산업 육성을 위해 충남대, 한국기계연구원, LS엠트론과 업무협약을 맺고 내년 산자부 공모 사업에 도전한다. 충남도 제공. 

충남도와 예산군이 디지털 농업을 선도하고 모빌리티 산업 육성을 위해 충남대, 한국기계연구원, LS엠트론과 손을 잡았다.

이들 기관은 내년 산업통상자원부의 ‘농기계 디지털 기술 R&D 지원센터’ 구축 사업 공모에 도전할 계획으로, 세계 농기계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디지털 농업 모빌리티 신시장 대응과 충남 주력 산업인 모빌리티를 농업 분야까지 확장한다는 복안이다.

디지털 농업은 개인의 경험과 숙련도에 의존했던 기존 농작업을 인공지능(AI)이나 빅데이터, 첨단 농기계 등으로 대체하는 것을 말한다. 환경으로 인한 영향을 줄이고, 생산성을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2일 도에 따르면 김태흠 지사는 도청 대회의실에서 최재구 예산군수, 김정겸 충남대 총장, 류석현 한국기계연구원 원장, 신재호 LS엠트론 대표이사 등과 충남 디지털 농업 모빌리티 산업 육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을 맺은 각 기관·기업의 주요 추진 과제는 디지털 기반 원격관제 시스템 및 농기계 주요 부품 성능평가, 신뢰성 검증 인프라 구축 등이다.

도가 도전하는 해당 센터는 디지털 농업 모빌리티 관련 기술을 전문적으로 연구·실증하는 국내 최초 기관으로, 현재 국내 주요 농기계 기업들이 연구소 설치 등을 통한 참여 의사를 밝히고 있다.

최근 세계 농기계 시장은 농기계와 농경지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해 해당 농지에 최적화된 파종량이나 비료 투입량 등을 제시하는 솔루션을 선보이고 있다.

국내는 농기계 자율주행과 원격 제어, 모니터링 기술을 일부 상용화됐지만, 디지털 농업 솔루션 개발은 아직 초기 단계에 불과하다.

이 자리에서 김 지사는 “충남도는 삽교평야 일대를 ‘미래 농업 전진기지’로 만들어 나아가고 있다”고 소개하며 “스마트팜과 그린바이오 산업에 6차 산업과 연구 기능도 접목해 내포 농생명 융복합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김 지사는 이어 “여기에 디지털 농업 모빌리티까지 더해, 스마트팜과 함께 농업·농촌 구조와 시스템을 바꾸는 핵심 동력으로 삼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내포 농생명 융복합산업 클러스터는 ▲농생명 자원 기반 그린바이오 산업 생태계 조성 ▲미래 세대 농업인 육성 및 미래 지향적 농촌 경제 구현 등을 위해 조성 추진 중이다. 예산군 삽교읍 일원 166만 6000㎡에 2027년까지 3485억 원을 투입해 스마트팜과 산업단지, 연구단지 등을 건립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