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 반발 속 ‘청양 지천댐’ 환경부 신규 댐 후보지로 선정
저수용량 2800만톤 이상..5천억 원 투입 예정
충남 청양군 장평면에서 부여군 은산면 일원을 잇는 지천 하류가 환경부의 다목적 신규댐 건설 후보지로 선정됐다.
다만 인근 주민이 반발하고 있어 최종 건설 확정까지 난항이 예상된다. 충남도는 인근 주민 피해 최소화를 앞세우면서도 미래 생존 측면에서 반드시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김완섭 환경부 장관은 3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전국 신규 댐 건설 후보지 14곳’을 선정해 발표했다.
이번에 선정된 곳은 환경부가 국가 차원의 댐 건설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5곳과 전국 각 지자체가 건의한 9곳이다.
권역별로 ▲낙동강 권역이 6곳 ▲한강 권역 4곳 ▲영산·섬진강 권역 3곳 ▲금강 권역 1곳으로, 청양 지천댐은 금강 권역에서 유일하게 선정됐다.
건설이 확정되면 약 5000억 원을 투입해 저수용량 2800만 톤~ 5900만 톤(예당저수지 4700만 톤)규모의 댐이 지어진다. 유역면적은 193㎢, 공급량은 1일 11만㎥이다.
충남 서남부권 70% 이상 대청댐 용수 의존
대청댐 용수공급 한계..지천댐 건설 당위성·필요성↑
충남도 ‘행위·입지제한 완화’ 주민 불편 최소화
충남 서남부권 지역은 ‘수원부족’ 현상이 만연한 곳이다. 70% 이상 대청댐 용수에 의존하고 있지만, 대청댐은 용담댐 건설 이후 유입수량 감소로 용수공급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결국 대청댐 운영의 한계로 이곳 용수를 의존했던 충남 서남부권은 신규 물 수요에 대비한 대체 수자원 확보 필요성이 커진 셈이다.
특히 청양 비봉산업단지 내에 SK그룹(수소분야) 유치를 추진하고 있는데, 1일 3000톤 규모의 공업용수가 필요하다. 가뭄 시에는 공장시설 중단은 물론 생활용수 부족으로 인한 단수 조치도 걱정해야 하는 상황이다.
충남도는 서부지역의 고질적 가뭄을 해소하는 등 효과를 기대한다. 하루 약 38만 명에게 먹는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규모로, 댐에서 직접 취수하지 않는 방식으로 상수원보호구역 등 규제는 발생하지 않을 거로 전망한다.
환경부는 지천댐이 있었다면 지난 2016년부터 이듬해까지 발생한 보령댐 가뭄 단계 진입과 충남 서부지역 용수 부족이 발생하지 않았을 것으로 분석했다.
도는 댐 건설로 형성되는 수변공간을 활용해 수변문화 센터, 수상 무대 등 자연환경 조망과 체험이 가능한 공간 조성에 나설 계획이다.
30년 전부터 계획된 ‘지천댐’..주민 반대 극심
하지만 지역민은 지천댐 건설에 반대 목소리를 내놓고 있다. 대표적 농업군인 청양이 댐 건설로 인한 안개 발생으로 일조량 부족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농작물의 결실이 불량해 질 수 있다는 염려를 앞세우고 있다.
아울러 댐 상류 지역은 개발제한 지역 등 각종 규제로 기본적 생활권 침해와 농업, 축산, 임업 분야 마저 사장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반대 주민모임은 지난 18일 청양군청 앞에서 집회를 열고 “환경부와 충남도는 청양군민의 일방적 희생을 강요하지 말라. 건설 계획을 즉각 파기해야 한다”며 “충남 서남부권의 물 부족 현상에 대응하기 위해 청양에 빨대 역할을 (요구하며) 수장시키는 행위를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한편 환경부는 내달 중으로 댐 건설 후보지를 찾아 주민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