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보건계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정부 지원 절실"

보건의료노조, 치료사 처우개선·정부 지원 요청 "소아재활치료 투입비용 대비 수가 낮아 적자 불가피"

2024-06-18     유솔아 기자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대전충남지역본부가 18일 대전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전공공어린이재활병원 정상화를 촉구했다. 한지혜 기자. 

[유솔아 기자] 대전지역 보건의료 노동계가 ‘공공어린이재활병원(어린이재활병원)’ 정상화를 위한 치료사 처우 개선과 정부 지원을 요청했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대전충남지역본부(노조)는 18일 오전 대전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대전세종충남넥슨후원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이 지난해 5월 전국 최초로 대전에 문을 열었지만, 1년이 지난 현재 사직자가 속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노조는 “동급 의료기관 경력 일부 인정, 계약직 경력 불인정, 낮은 임금체계, 미비한 필수 수당이 그 이유”라며 “열악한 상황에도 환자를 위해 하루하루 버티고 있지만, 최근에는 육아휴직 대체자를 축소 채용하겠다는 계획까지 내놨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어린이재활병원 전문성 저하와 소아 재활치료 기관 부재를 우려했다. 

특히 퇴사자 16명 중 재활치료사가 9명(56.3%)에 달하며, 비교적 저연차에 속하는 3년차 치료사가 빈 자리를 채우고 있다. 또 간호사 3명(병동간호사 2명·공공재활간호사 1명)이 육아휴직을 앞두고 있지만, 대체 인력을 1명만 채용할 계획을 세웠기 때문. 

노조는 “병원 경영진은 개원 1주년 기념식에서 인력 미충원, 구매비용 및 소모성 예산 절감 등 병원 기능 축소 운영안을 발표했다”며 “직원에게 고통과 책임을 전가하고 일할 의욕을 떨어트리고 있다”고 규탄했다. 

이어 정부를 향해 “소아 재활치료는 투입비용 대비 수가가 낮아 적자가 불가피하나, 정부는 일절 지원하지 않고 있다”며 “시 역시 마땅히 해야 할 역할과 책임이 있음에도 국비 지원만 기다릴 뿐 육성방안은 전무하다”고 지적했다. 

끝으로 “장애아동 재활치료 버팀목이 되겠다는 포부는 사라지고, 개원 1년 만에 수십억 원 적자로 직원은 허리띠 졸라 매고 환자와 보호자는 다시 소아재활 난민이 될까 두려움에 떨고 있다”며 "시와 정부틑 책임감을 가지고 위기를 해결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어린이재활병원은 장애아동 치료와 돌봄, 특수교육을 지원하는 전국 유일 어린이 재활전문 의료기관이다. 시가 인건비와 운영비 등 총 92억 원을 투입, 올해 64억 원 가량 적자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