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 성심당 임대료 논란 가세했지만...'머쓱'
허은아 개혁신당 대표 "거위 배 가르는 꼴" 코레일 비판 성심당 측 "매출기준 따졌을 때 코레일 말, 맞다"
“천하의 성심당 역시 임대료 인상으로 고통 받는데 자영업자는 더하지 않겠나.”
성심당 대전역점 임대료 논란이 정치권까지 번졌다. 허은아 개혁신당 대표는 5일 대전에서 최고위원회의를 개최한 이유에 대해 “대전을 상징하는 빵집 성심당 때문”이라고 말했다.
허 대표는 이날 최고위 모두발언에서 “코레일(유통)이 성심당에 갑작스럽게 임대료 4배 인상을 요구하는 것은 황금알을 꺼내겠다고 거위 배를 갈라 죽이는 격”이라며 “천하의 성심당도 과도한 임대료로 고통을 받는데 영세한 자영업자 처지는 어떻겠느냐”고 지적했다.
그는 “지난해 우리나라 자영업자 폐업률이 10%에 달해 20년만에 최고치”라며 “윤석열 대통령은 자영업 회생 대책이 있기는 하느냐. 윤 대통령 1호 공약이 소상공인 살리기였다는 사실을 이곳(대전역)에서 상기시켜 드린다”고 당부했다.
"성심당, 의외로 을 입장 아냐" 입장 선회
개혁신당은 이어 박삼화 성심당 상무이사를 비롯한 관계자와 간담회를 진행했다. 개혁신당 지도부는 코레일의 임대료 상승이 부당하다는 취지의 발언을 이어나갔다.
하지만 박삼화 성심당 상무는 “지역 향토기업에 혜택과 기회를 줘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면서도 “매출 기준으로 따졌을 때 코레일 말이 맞고, 사기업이 정부기관 규정을 어떻게 해 달라고 하는 게 맞지 않다”고 설명했다.
허 대표는 간담회 중 “저희가 바라볼 때 아무래도 슈퍼(최고) 을의 입장이 아닐까 생각했는데 의외로 을의 입장은 아닌 것처럼 보인다”며 입장을 선회했다.
한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개혁신당 대전방문에 대해 "지역 내 연구개발 예산 삭감, 공공기관 이전 등 다양한 현안이 있지만 일절 언급이 없었던 부분은 아쉽다"며 "지역에 관한 이해가 부족한 것 아니냐"고 평가했다.
앞서 성심당은 지난 2019년부터 매월 약 1억 원의 임대료를 내고 대전역점을 운영했다.
코레일유통은 지난 4월 임대계약이 만료됨에 따라 경쟁입찰을 시행했다. 성심당의 월 매출액 대비 수수료율 기준 17%를 적용해 4억 4100만 원을 제시했다.
현재까지 4차례 입찰 모두 유찰됐으며, 현재 임대료 3억 917만 원을 기준으로 5차 입찰 공고를 진행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