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안, 화력발전 폐지 따른 '11조' 누수 대책 마련 부심
내년부터 2032년까지 10기 중 6기 폐지 도-군-발전사-기관 전담팀 대응마련 첫발
[한남희 기자] 화력발전소 폐지로 태안군의 경기 침체가 우려되는 가운데 이에 대응할 전담팀이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다.
충남도는 27일 전형식 도 정무부지사와 안호 산업경제실장, 박경찬 태안부군수를 비롯해 중앙협력본부, 충남연구원, 일자리경제진흥원, 한국서부발전 관계자 등 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전담팀 첫 회의를 열었다.
태안에는 10기의 석탄화력발전소가 있고, 이 중 내년 1·2호기를 시작, 2032년 5·6호기까지 모두 6기를 차례로 폐지할 계획이다.
액화천연가스(LNG)발전소로 대체할 6기 중 아직 대체건설지가 정해지지 않은 4호기를 제외하면 1·2호기는 구미·여수, 3호기는 공주, 5·6호기는 용인으로 이전한다.
2019년 기준 태안의 전기업종 산업특화도는 30.93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고, 전기업의 지역내총생산 비율도 2018년 기준 40%에 달했다. 화력발전 폐지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클 수밖에 없다.
2021년 산업통상자원부는 석탄화력발전소 폐지로 태안군이 11조 900억 원의 경제손실이 발생한다는 연구용역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도는 보령화력1·2호기 폐지로 맞닥뜨렸던 지역경제 어려움이 태안에서 재연하지 않게 정무부지사를 단장으로 하는 전담팀을 꾸렸다.
이날 회의 참석자들은 해양레저산업 활성화, 산업단지 개발, 귀어인 지원, 일자리 지원체계 구축 방안을 마련키로 했다.
도는 지난해부터 ‘석탄화력발전소 폐지지역 지원을 위한 특별법’ 제정을 위해 노력했지만, 21대 국회에서 상임위 문턱을 넘지 못했다.
전형식 정무부지사는 “태안군 지역경제에서 발전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커 일자리 측면과 아울러 인구·사회·경제적 측면에서 발전소 폐지에 따른 파급 효과가 클 것”이라며 “전담팀 운영을 통해 도와 시·군이 역량을 결집, 대비할 수 있는 부분은 집중력 있게 추진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