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적 접근’ 대전도 공공기관 유치 속도 낸다
철도교통·과학기술 등 38개 관련 기관 타겟 尹 대통령 ‘지역 맞춤형 이전’ 언급 기대감
[한지혜 기자] 대전시가 정부의 수도권 공공기관 이전 방침에 발맞춰 성과를 낼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윤석열 대통령이 취임 2주년 기자회견에서 ‘지역 맞춤형 이전’을 언급한 만큼, 물밑 작업도 속도를 낼 전망이다.
윤 대통령은 9일 대통령실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수도권)공공기관 이전은 지역 경제와 산업 특성에 맞는 ‘맞춤형 이전’을 추진해야 한다는 생각”이라며 “지역과 계속 협의하고 빠른 시일 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시 주력 유치 분야는 철도교통, 특허지식, 중소벤처산업, 과학기술 등이다. 유치 목표 기관은 총 38곳.
대전은 뒤늦게 혁신도시로 지정됐지만, 역세권 개발 사업 등 기존 도시개발 사업과 연계해 공공기관 이전부지 검토를 마쳤다. 도심융합특구 역세권 동광장 내 건립하는 49층 규모 트윈타워, 연축지구 등이 대표적이다.
이장우 시장은 지난달 대전역 동광장 옛 철도보급창고 부지 내 지하 7층, 지상 49층 규모의 트윈타워 건립 계획을 발표했다. 목표 건립 시기는 오는 2030년. 시는 이곳에 기상청, 특허청 등 유관 공공기업을 유치하겠다는 구상이다.
대덕특구와 연계해 개발하는 연축지구는 과학기술 혁신클러스터로 조성한다. 시는 과학기술 관련 공공기관, 기업 등을 유치할 계획이다.
다만, 재원과 충분한 부지 확보는 남은 과제로 꼽힌다. 시는 오는 2030년까지 고층 트윈타워를 완공하겠다는 계획이나, 추정 사업비가 2조 원에 이르러 이의 확보가 성패를 가를 전망이다. 연축지구는 오는 2026년이면 완공하지만, 기존 부지가 협소해 충분한 부지 확보가 관건이다.
대전은 타 시·도와 달리 유치 목표 기관 리스트를 공개하지 않은 채 신중히 접근하고 있다. 타 시·도와의 경쟁, 갈등 유발이 오히려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공개적으로 유치전에 나서기보단 개별 접촉을 통해 물밑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이 시장도 올해 초 열린 확대간부회의에서 “수도권 공공기관 2차 이전에 적극 대처해야 한다”며 “유치할 수 있는 기관을 최대한 파악해 정부 방침이 나오기 이전이라도 접촉을 계속 해야하고, 필요하면 직접 만나 협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시 균형발전담당관 관계자는 “대전의 경우 지리적으로 수도권과 가까워 교통이 편리하다는 점이 가장 큰 이점이고, 안정된 교육 인프라와 양호한 정주 여건 등 경쟁력이 앞선다고 본다”며 “타 지역과 갈등이나 경쟁을 유발하기 보단 강점을 어필하며 유치 활동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