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공주시 옛 터미널 부지에 '주상복합' 밑그림...현실은 '교착상태'

[시리즈 하(下)] 방치 십수년, 공주시 옛 시외버스터미널 '현장 돋보기' 주상복합 신축 인허가 단계 머물러 있어...세계유산평가(HIA) 거쳐야

2023-10-25     정은진 기자
폐허 상태로 방치되어 있는 공주시 신관동 옛 시외버스터미널 부지. 정은진 기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도시 공주시의 관문격인 신관동에 흉물로 방치되고 있는 옛 시외버스터미널 건물.

본지는 2회에 걸쳐 해당 시설의 현 주소를 짚어본다. 

==글 싣는 순서==

상(上). '흉물 전락' 공주시 옛 시외버스터미널, 방치 언제까지?
하(下). 공주시 옛 터미널 부지에 '주상복합' 밑그림...현실은 '교착상태'

[공주=디트뉴스 정은진 기자] 공주시 옛 시외버스터미널이 십수년째 흉물로 방치된 상황에서 지난 2020년, 한 가닥 희망의 빛이 깃든다. 

(주)씨앤디라는 업체가 현 부지에 묶여 있는 각종 소유권 소송 등을 정리하면서 '신관동 주상복합 신축'이란 밑그림을 드러냈기 때문이다. 

(주)씨앤디는 옛 시외버스터미널 부지인 신광동 608번지에 대지면적 1만 7022㎡, 세대수 938세대, 높이 158m에 달하는 주상복합을 신축하기로 하고, 공주시에 각종 인허가 요청서를 제출하기에 이른다. 

공주시 신관동 옛 시외버스터미널 부지 곳곳에 붙어있는 주상복합신축 사업 관련 현수막. 정은진 기자

공주시 옛 시외버스터미널 방치 부지에 주상복합 새 밑그림...현실은

기자가 찾은 해당 부지 곳곳에도 주상복합신축사업이 진행되는 늬앙스의 현수막이 붙어있었다. 단, 그마저도 반년이 훌쩍 지난 모양새였다. 

옛 공주시 시외버스터미널 부지는 방치된 폐허라는 오명을 벗고 주상복합이란 탈바꿈을 할 수 있을까. 

이에  공주시는 '교착 상태'라는 답을 내놓았다. 

공주시 관계자는 24일 본지와 인터뷰를 통해 "공주시 차원에서도 이 부지를 살려보고자 과거 장기미과제 TF팀을 꾸리는 등 각종 노력을 많이 했다"고 운을 뗐다. 

그러면서 "현재 이 부지는 민간인이 소유 중으로 시 차원에서 할 수 있는 것은 한계가 있다"며 "현재 주상복합부지 조성을 위한 인허가 단계에 머물러 있는데 이마저도 쉽지 않은 상태"라고 전했다. 

이어 "주상복합을 지으려는 업체는 수익성을 위해 높이를 포기할 수 없는데, 이는 유네스코 지정 도시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며 "수익성과 유네스코 지정 도시라는 가치가 충돌해 있는 상태"라고 설명했다.

공주시 신관동 옛 시외버스터미널 부지 건너편은 현 시외버스터미널이다. 공주시를 찾는 관광객들은 버스에서 내리면 이 방치된 옛 시외버스터미널 부지를 가장 먼저 보게된다. 이는 도시 이미지에 큰 타격을 받는 요소로 작용될 수 있다. 정은진 기자
공주시 신관동 옛 시외버스터미널 부지는 각종 폐자재와 쓰레기로 방치돼 있다. 언제까지 이대로 방치되야 하는걸까. 답은 아직 미지수다. 정은진 기자

개발 까다로운 유네스코 세계유산도시...문화재청 '세계유산영향 평가' 거쳐야

<디트뉴스24>가 취재한 바를 종합하면, 해당 부지에 대한 주상복합건설건은 지난 2020년 12월 경관위원회 사전검토에 따른 문화재청 협의부터 2021년 10월에는 충청남도 경관 심의가 조건부 의결됐다. 조건부 내용은 '공산성 등 문화재 및 경관에 미치는 영향이 큰 부지임을 고려한 공공성 측면의 높이, 형태에 대한 조정' 등을 기준에 맞춰야 한다는 것이다.

2022년 2월에는 충청남도 건축심의 사전 자문을 거쳤고, 2021년 4월에는 충청남도 건축위원회 통합 심의 신청에 대한 결과가 통보됐다. 통보 결과는 '건축은 가능 하나 문화재심의위원회의 세계유산영향평가(HIA) 통과 절차가 꼭 필요하다'는 것이다. 

공산성 일대에서 바라본 신관동. 유네스코 문화유산도시 공주시는 곳곳에 포진된 문화유산으로 인해 높은 건물에 대한 인허가를 받기가 쉽지 않다. 이희택 기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도시인 공주시는 높은 건물에 대한 인허가를 받기가 쉽지 않다.

특히 공산성 등 인근 문화유산과 균형을 맞춰야 하는 공주시의 경우, 문화재 심의위원회의 세계유산영향평가(HIA)라는 까다로운 절차를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 (주)씨앤디가 제시한 주상복합의 밑그림은 높이 158m로 꽤 높은 편이다. 

무분별한 인허가 절차로 균형이 맞지 않은 건물이 들어서게 되면, 최악의 경우엔 유네스코 차원의 조치를 받게 된다. 독일 드레스덴 등 유네스코 지정도시가 취소된 사례도 실재한다. 

이처럼 앞으로의 핵심 절차는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세계유산영향평가(HIA)를 넘어서는 데 있다. 문화재청에 따르면, 해당 평가는 올해 말 서울에서 열리게 된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본지와 통화에서 "이번 심사에서 해당 부지의 주상복합단지 설립 가부가 판가름날지는 확실하지 않다"고 말을 아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