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정원 확대" 정부 방침에 대전 대학가 기대·우려 '교차'
지역국립의대 인력 증원, KAIST 의대 신설 '기대' 이공계 인재 유출, 기피현상 가속 우려도
[유솔아 기자] 정부가 최근 의과대학 정원 확대 계획을 발표했다. 구체적인 증원 규모와 방식 등이 아직 정해지지 않았지만, 오는 2025학년도부터 의대 정원을 대폭 늘리겠다는 방침이다.
이를 두고 대전지역 대학가에선 엇갈린 반응이 나오고 있다. 지역의대 신설과 지역 국립의대 중심 증원 등 기대감과 동시에, 의대 쏠림에 따른 이공계열 기피 현상 심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교차하고 있다.
이번 정책에 가장 기대를 갖는 지역대학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 그간 연구 중심 의대 설립을 지속 건의했고, 정부 또한 '의사과학자 양성' 중요성에 공감했기 때문이다.
김하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 17일 <디트뉴스>와 통화에서 “여러 방면에서 카이스트 내 의사 과학자 양성을 위한 의대 신설 목소리가 나오고 있어 기대감이 드는 건 사실”이라고 밝혔다.
그는 특히 “현재 의약, 의료 장비 등 의료 영역 전반에선 ‘개발’을 할 수 있는 의학과 공학적 소양을 모두 갖춘 인재를 필요로 하고 있다”며 “기존 의대는 공학교수 부족, 임상의학 쏠림으로 의학과 공학 융합교육을 할 수 없다”고 의대 설치 당위성을 주장했다.
"지역 의료 공백 해소 도움 기대"
"이공계 우수 인재 유출 발생 우려"
대학 병원을 운영하고 있는 충남대도 기대감을 나타내고 있다. 정부안 중 하나로 '지방 국립대 중심 의대 정원 확대'에 무게가 실리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지역 간 의료 불균형을 해소하고자 하는 정책 취지와도 맞닿아있다.
충남대 의대 관계자는 "지역 의대생들이 수도권으로 향하고 있어, 지역 대학병원들은 의사와 필수의료인력 부족문제를 겪고 있다"며 "의대정원 확대와 함께 지방 근무를 의무화한다면 의료공백을 해소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반대로 이공계열 학과를 중심으로는 위기감이 감지되고 있다. 내년도 연구·개발예산 삭감에 의대 증원이 겹치면서, 이공계열 우수 인재 유출이 발생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충남대 전기공학과 A교수는 "이공계열 기피현상은 오래전부터 지속됐으며, 의대 정원 확대로 그 속도가 빨라질 것"이라며 "이공계 인재 유출과 상위권 학생 의대 쏠림으로 이공계열 전반적인 질적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일부에선 이 같은 우려가 과하다는 의견도 비등하다.
한밭대 신소재공학과 B교수는 "우수인재가 의대로 빠져나가는 현상은 하루이틀일이 아니고, 1~2000명이 더 나간다고 해서 문제가 심화되진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충남대 전자공학과 C교수 역시 "의대 정원이 늘면 의사 임금이 하락해 오히려 의대 선호도가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며 "이공계 처우를 개선해 우수인재를 유입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한편 정부는 오는 19일 의대정원 확대 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