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충청권 수해 피해 지원" 약속..정쟁도 '치열'
충남·북 현장 방문 특별재난지역 선포·복구작업 적극 지원키로 4대강 보 해체 놓고 책임론 제기하며 ‘네 탓’ 공방도
[류재민 기자] 여야가 충청권 수해 피해지역을 찾아 조속한 복구와 특별재난지역 선포 등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하지만 다수의 인명 피해가 발생한 것에는 책임을 전가하며 치열한 정쟁을 벌이고 있다. 이번 수해 피해로 지역 민심이 악화하면 내년 총선까지 여파가 미칠 수 있다는 위기감 때문으로 풀이된다.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와 박광온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지난 17일 부여와 청양, 공주 등 충남지역 호우 피해지역을 돌며 피해 상황을 살폈다. 이와 함께 대피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이재민을 찾아 위로했다.
앞서 지난 16일에는 윤재옥 국민의힘 원내대표와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충북 청주지역을 방문해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한 오송 지하차도 현장 등을 둘러본 뒤 정부 차원의 총력 대응을 주문했다.
이처럼 여야 지도부가 연이틀 충청권 수해 지역을 찾는 배경에는 집중호우로 피해를 입은 지역민들의 민심을 달래려는 의도로 분석된다. 여야 모두 복구 지원에는 한목소리를 냈지만, 피해 원인을 놓고는 공방을 벌이고 있다.
국민의힘은 금강 유역 범람 우려와 관련해 문재인 정부의 4대강 보 해체·개방에 책임을 돌렸다. 정진석 국민의힘 의원(충남 공주·부여·청양)은 지난 17일 공주시 수해 피해 현장에서 취재진에게 “4대강 사업으로 물그릇을 크게 해 금강 범람이 멈췄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4대강 사업을 안 했으면 금강이 넘쳤다고 이구동성으로 얘기한다”며 “포스트 4대강 사업인 지류·지천 정비사업을 윤석열 정부에서 중앙정부가 틀어쥐고 당장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토부에서 하던 수자원 관리를 문재인 정부 때 무리하게 환경부로 일원화시킨 것도 화를 키운 원인이다. 원상 복구해야 한다”고도 했다.
민주당은 4대강 보와 홍수는 관계가 없다고 맞섰다. 박정현 부여군수는 같은 날 오후 원내지도부와 수해 현장에서 만나 “이번 홍수를 두고 일각에서 4대강 사업 덕분에 금강이 범람하지 않았다는 해괴한 논리로 농민을 호도하고 있다. 당에서 정확하게 대처해달라”고 말했다.
박 군수는 특히 박 원내대표에게 “홍수가 나니 4대강 사업을 다시 소환해 정쟁을 부추기는 분들이 계시다”며 “이번 피해지역은 대부분 소하천과 지류에서 발생했다. 금강 본류와 상관이 없다”고 정 의원과 국민의힘 지도부를 싸잡아 비판했다.
그는 또 “금강 본류 수면이 상승하다 보니 지류 하천에서 나가는 물이 합류할 수가 없었고, 배수문을 닫았다. 금강 본류 하천 수면이 완전히 내려올 때까지 침수가 계속 누적돼 범위가 굉장히 넓어진 것”이라고 반박했다.
한편 정부는 집중호우로 큰 피해를 입은 충남과 충북, 대전, 세종 등 충청권을 비롯한 전국 11개 지방자치단체에 재난안전특별교부세 106억5000만원을 긴급 지원키로 했다. 재난안전특별교부세는 피해 시설 잔해물 처리, 긴급 안전조치 등 2차 피해 방지를 위한 응급 복구와 이재민 구호를 위해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