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흠, 日 TSMC 공장서 천안 국가산단 '로드맵' 그리다

천안시·구마모토, ‘비수도권·대기업 유치’ 공통점 시찰 통해 산단 인프라 구축, 인력공급 해법 구상

2023-05-23     황재돈 기자
일본 출장길에 오른 김태흠 충남지사가 지난 22일 구마모토(熊本) ‘TSMC 반도체 공장’ 건설 현장을 둘러봤다. 충남도는 ‘구마모토 TSMC’를 지난 3월 국가산단으로 지정된 ‘천안 미래모빌리티 국가산단’ 개발 방향의 ‘롤 모델’로 보고 있다. 따라서 김 지사의 이번 시찰은 벤치마킹 의도가 깔린 행보로 해석된다. 충남도 제공 재편집.

[황재돈 기자] 일본 출장길에 오른 김태흠 충남지사가 지난 22일 구마모토(熊本) ‘TSMC 반도체 공장’ 건설 현장을 둘러봤다. 충남도는 ‘구마모토 TSMC’를 지난 3월 국가산단으로 지정된 ‘천안 미래모빌리티 국가산단’ 개발 방향의 ‘롤 모델’로 보고 있다. 따라서 김 지사의 이번 시찰은 벤치마킹 의도가 깔린 행보로 해석된다.   

23일 충남도에 따르면, 김 지사는 전날(22일) 오전 도정 정책 접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구마모토현에 위치한 ‘TSMC 반도체 공장’ 건설 현장을 방문했다. 이 자리에는 지역 국가산단 개발을 주도하는 유재룡 도 산업경제실장이 동행했다. 

‘대만 TSMC’와 ‘일본 소니·덴소’가 합작해 설립한 ‘JASM’는 구마모토 세미콘 테크노파크·하라미즈 공업단지 일원 21만 3000㎡ 부지에 86억 달러(약 10조 3400억 원)를 들여 TSMC 공장을 건설 중이다. 지난해 4월 착공한 이 공장은 올 연말 완공해 내년 말 가동할 예정이다. 

일본 정부는 미·중 대립 여파로 반도체 부족과 공급망 문제가 떠오르자 건설비용의 절반 가량을 지원해 TSMC를 유치했다. TSMC 유치 후 구마모토현 내에는 도쿄오카공업, 도쿄일렉트론 규슈, 미츠비시 전기, 재팬 머티리얼 등 27개 기업이 신규 투자를 결정하고, 물류 관련 기업 진출도 증가하고 있다. 

세계 최대 반도체 위탁 생산업체를 유치함으로써, 관련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들이 산업 생태계를 자연스럽게 조성하고 있는 셈. 

천안 국가산단 126만평, 첨단산업 분야 대기업 유치 목표
국가산단 주변 소부장 단지 및 뉴타운 조성 청사진


126만평 규모의 천안 미래모빌리티 국가산단 부지 전경. 자료사진.

이는 국가산단으로 지정된 ‘천안 미래모빌리티 국가산단’ 개발 계획과 맥을 같이 한다. 도와 천안시는 국가산단(126만평)에 첨단 산업 분야 대기업을 유치하고, 인근 일반산단을 조성해 관련 협력업체 유치, 배후 부지 뉴타운 조성 계획을 세운 상태다.

이 같은 계획은 김 지사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을 만난 대목에서 확인됐다.  

김 지사는 지난 4월 삼성디스플레이 아산캠퍼스에서 이 회장을 만난 후 언론브리핑을 통해 “이 회장에게 천안 성환종축장 국가산단 부지에 삼성이 통째로 들어오는 방안을 강하게 요청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삼성이 국가산단으로 오면 주변 협력업체 단지를 조성할 수 있고, 인근 배후도시를 만들 수 있다”고 개발 방향을 밝힌 바 있다.

‘구마모토 TSMC’ 공장이 천안 국가산단의 ‘롤 모델’로 제시되는 이유는 양 지역의 지리적 특성과 개발 로드맵이 비슷하기 때문. 구마모토와 천안시 모두 비 수도권이고, 첨단산업 분야 대기업을 유치를 통해 미래 먹거리를 창출하겠다는 계획이 닮아있다. 

김태흠 충남지사가 지난 22일 일본 구마모토 TSMC 공장 건설 현장을 둘러본 뒤 구마모토현립 기술단기학교장과 만나 인사를 나누고 있다. 충남도 제공.

김 지사가 공장 건설 현장 시찰 후 구마모토현립 기술단기학교에서 가진 설명회에서 “TSMC 공장 건설을 천안 종축장 국가산단 모델로 삼을 것”이라고 밝힌 배경도 맥을 같이 한다. 

김 지사는 이 자리에서 “우리나라 반도체 기업들은 서울에서 30분 거리 밖으로 진출을 꺼리고 있다”며 도쿄 등 대도시와 원거리에 위치한 구마모토는 인력공급을 어떻게 하는지 등을 살폈다.

그는 또 “반도체 산업 가동을 위해 전기와 용수가 충분해야 하고, 소부장 업체가 밀집해야 하며, 물류 인프라가 필요하다”며 TSMC가 구마모토에 진출한 배경을 묻기도 했다. 

‘용인 시스템반도체 국가산단 조성’과 ‘수도권 반도체학과 신설’ 등 정부의 '수도권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방침에 맞서 비수도권에 위치한 천안 국가산단을 어떻게 개발하고, 관련 산업을 육성할지 고민이 묻어나는 대목이다.  

김 지사의 이번 현장 시찰이 향후 천안 국가산단 개발 계획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관심이 쏠리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