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부동산 호재...미분양 해소 ‘가속도 붙나’
서남부권 국가산단 지정에 봄 성수기 ‘호재’ 2월말 미분양 2698가구지만, 거래량은 증가 추세 신규분양도 조금씩 ‘숨통’...부동산 한파 꺾이나
[김재중 기자] 대전지역 미분양 아파트가 지난 2월말 현재 2698가구 남아 있는 등 적체 현상이 여전하지만, 서남부권 국가산업단지 지정과 봄 성수기 등 호재가 겹치면서 미분양 해소에 가속이 붙을 전망이다.
6일 ‘대전시 도시주택정보’에 공개된 미분양주택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2월 대전에서 미분양 아파트 327가구가 거래돼 잔여 물량이 총 2698가구 남아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1월에는 미분양 아파트 214가구가 거래됐다.
미분양 아파트 거래현황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유성구에서 가장 많은 180가구가 거래됐고 서구에서 92가구, 동구에서 55가구가 거래됐다. 잔여 물량은 동구 405가구, 중구 147가구, 서구 1380가구, 유성구 690가구, 대덕구 76가구로 서구에 가장 많은 미분양 아파트가 남아 있다.
대전지역 주요 미분양 단지를 살펴보면 ▲동구 삼성동 ‘e편한세상대전역센텀비스타’ 400가구 중 240가구 ▲서구 정림동과 도마동 일원 ‘한화 포레나 대전월평공원’ 1, 2단지 1349가구 중 605가구 ▲유성구 학하동 ‘포레나 대전학하’ 872가구 중 354가구 ▲유성구 용계동 도안지구 ‘도안 우미린 트리쉐이드’ 1375가구 중 272가구가 2월말 현재, 미분양 아파트로 남아 있다.
지난 연말 서구 용문동에서 분양된 ▲‘대전 에테르 스위첸(오피스텔 제외 138가구)’과 ▲‘둔산 더샵 엘리프(조합원 제외 1935가구)’는 건설사측 요청으로 미분양 규모가 공개되지 않았지만, 491가구가 미분양인 것으로 분석된다. 서구 전체 미분양 물량 1380가구에서 공개된 미분양 889가구를 빼면, 2개 단지 미분양 규모를 추측할 수 있다.
통계 시점인 2월말 이후 대전에서는 서남부권 국가산업단지 지정 등 부동산 호재가 있어 4월초 현 시점 미분양 물량은 상당 부분 감소했을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서남부권 미분양 아파트 사업 주체들은 지난달 15일 국가산업단지 지정 이후 “미분양 완판이 이뤄졌다”고 홍보하고 있다. 자치단체 3월말 시점 통계가 공개돼야 완판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연말, 대전의 미분양 아파트가 3239가구로 정점을 찍은 이후 1월 214가구, 2월 327가구가 감소하면서 적체 해소에 가속이 붙고 있는 점은 긍정적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 3월 국가산업단지 지정 효과로 더 많은 거래가 이뤄지고 4월 봄 성수기까지 반영된다면 대전에서 벌어졌던 ‘부동산 한파’는 기세가 한풀 꺾일 전망이다.
미분양 적체로 신중하게 부동산시장을 관망했던 신규 분양 사업들도 어느 정도 부담을 덜 수 있게 됐다.
4월 봄 성수기를 맞아 대전에서는 고급형 주상복합인 ‘그랑 르피에드 둔산’이 다양한 명품 어메니티를 앞세워 틈새시장 공략에 나섰다.
올해 대전지역 신규분양 최대어인 탄방1구역 정비사업(숭어리샘)은 조합 측이 총회를 통해 후분양에서 선분양으로 전략을 바꿔 상반기 분양시장에 ‘둔산 센트럴 자이’를 선보일 예정이다.
대전 중구 유천동1구역 지역주택조합사업 역시 최근 대전시로부터 주택건설사업계획 승인을 받으면서 ‘태영 데시앙’ 하반기 일반분양을 위해 사업 속도를 올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