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제 개편·공천룰’ 충청권 현역 의원들 떨고 있나?

총선 1년여 앞두고 ‘물갈이론’에 다양한 변수 ‘촉각’

2023-03-29     류재민 기자
충청권 여야 현역 의원들이 내년 총선을 1년 앞두고 선거제도와 공천룰 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겉으로는 정중동(靜中動) 같지만, 현역 교체를 일컫는 ‘물갈이론’과 맞물려 내심 초조한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 

[류재민 기자] 충청권 여야 현역 의원들이 내년 총선을 1년 앞두고 선거제도와 공천룰 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겉으로는 정중동(靜中動) 같지만, 현역 교체를 일컫는 ‘물갈이론’과 맞물려 내심 초조한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 

우선 변수는 국회에서 뜨겁게 다뤄지고 있는 선거제도 개편이다. 정개특위 3대 안은 ▲소선거구제+권역별·병립형 비례대표제 ▲소선거구제+권역별·준연동형 비례대표제 ▲도농복합형 중대선거구제+권역별·비례대표제 등이다.

20년 만에 열리는 전원위, 선거제 개편 여부 ‘관심사’
여야 이해관계·지역구 의원 반발에 현실화 ‘미지수’ 

정치권 안팎에선 한 선거구에서 2명에서 많게는 5명 이상까지 뽑는 중대선거구를 도입할 경우 승자·양당 독식의 지역 구도 폐단이 사라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여야 간 이해관계가 첨예한데다 일부 안의 경우 지역구 의원들의 반발이 불가피해 보여 현실화 가능성은 미지수다. 선거구 획정은 이보다도 관심이 낮아 오는 9월이나 10월께나 윤곽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공천룰도 핵심 변수 중 하나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의 경우 내년 총선 공천에 반영할 현역 의원 감점 기준을 변경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지난 총선 때는 하위 20% 평가자에게 일괄 20% 감점을 적용했지만, 이번에는 감점 비율을 5~25%로 바꿔 탄력 적용하겠다는 얘기다. 충청권 다수 의석을 차지하고 있는 민주당 현역 의원들로선 신경이 쓰일 수밖에 없는 대목.

이밖에 경선 인원은 몇 명을 원칙으로 할지, 임기 중 총선 출마 단체장에 대한 감산 비율과 예외 조항 등은 민감한 쟁점이 많아 현역뿐만 아니라 도전자들의 관심도 커질 전망이다. 

민주당, 현역 공천 감점 차등 평가에 ‘술렁’
국민의힘, 윤핵관·대통령실 낙하산 인사에 ‘긴장’

국회는 정치개혁특위가 제안한 3가지 안건을 놓고 오는 30일 전원위원회를 구성한 뒤 본격적인 논의에 착수할 예정이다. 선거제 개편안 논의를 위해 국회에서 전원위가 열리는 건 20년 만이다. 자료사진.

앞서 민주당은 ‘총선 1년 전에 공천룰을 확정지어야 한다’는 당헌에 따라 지난 13일부터 공천제도 태스크포스(TF) 가동에 들어갔다. 충청권에선 조승래 의원(재선. 대전 유성갑)과 문진석 의원(초선. 충남 천안갑)이 활동하고 있다. 

조승래 의원은 최근 <디트뉴스>와 통화에서 “지난 총선에서 하위 20% 의원 명단은 공개하진 않았지만, 그걸로 인해 출마를 포기한 의원도 있고, 경선에서 변수로 작용한 경우도 있었다”고 밝혔다. 

지난 대선과 지방선거를 연거푸 승리하며 중앙·지방 정권 교체에 성공한 국민의힘 현역들도 불안하기는 마찬가지다. 지역구 의원 대다수가 다선 중진급이라는 점에서 지역민들의 피로도와 현역 교체론이 어느 때보다 높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게다가 중앙당 지도부에 지역 인사가 들어가지 못하면서 이른바 ‘윤핵관’과 대통령실을 중심으로 한 낙하산 인사의 등장도 배제할 수 없다는 여론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 

지역 정가 관계자는 “선거제 개편은 현행 소선거구제 유지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현역 의원들로선 공천룰에 더 신경을 쓸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다만 “공천룰에 고민하기 앞서 의원 스스로 그동안 의정활동을 통해 지역과 지역민들에게 얼마나 긍정적인 변화와 성과를 이뤘는지 살필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