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국가산단...‘호남고속도로 지하화’ 최대 변수
호남고속도로, 산업단지 동서로 분리 ‘토지이용 제약’ 시 관계자 “지하화해야 산업단지 조성에 시너지” 지적
[김재중 기자] 대전시가 서남부권 ‘나노·반도체 국가산업단지’를 자족형 신도시로 건설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하면서 이장우 시장 핵심공약인 ‘호남고속도로 지선 7㎞ 지하화’ 추진 여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대전 유성구 교촌동 일원에 건설될 약 530만㎡(160만평) 규모 나노·반도체 국가산업단지 예정지역은 호남고속도로 지선이 남북으로 지나면서 산업단지 예정지가 동·서로 분리된 모습이다. 이곳을 자족형 신도시로 정비하겠다는 대전시 구상이 성공하려면, 고속도로 지하화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는 이유다.
22일 대전시 관계자는 “최근 결정된 ‘대전 나노·반도체 국가산업단지 조성사업’과 ‘호남 지선 지하화 사업’은 별개의 사업”이라며 “호남 지선 지하화 사업까지 동시에 추진되면 국가산업단지 조성에 엄청난 시너지를 발휘할 수 있지만, 호남지선 지하화를 전제로 국가산업단지 조성사업이 추진되는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이날 대전시는 보도자료를 통해 “서남부권 국가산업단지를 산업용지, 공원·상업시설, 연구시설, 주거·복합 용지 등 4개 권역으로 구분해 직장과 주거가 가까운 자족형 신도시로 정비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시는 “특히 산업용지와 연구시설 용지는 나노·반도체 국립연구원 설립, 세계적 기술 기업 유치, 국내 최고 수준의 소재·부품·장비 테스트 베드 구축 중 미래 핵심 전략사업을 적극 육성해 미국 실리콘 밸리처럼 양질의 일자리와 인재가 모이는 경제 생태계를 조성하겠다”는 청사진도 제시했다.
대전시 공개자료를 살펴보면, 시는 이번에 지정된 국가산업단지 북측을 산업용지로 활용하고 중앙을 공원과 상업시설, 남측에 연구시설과 주거·복합용지를 배치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산업단지의 북측부터 남측까지 호남고속도로가 관통하고 있어 토지이용에 제약이 예상된다. 산업단지 내부를 관통하는 고속도로는 쾌적한 주거 및 연구 여건 조성에도 불리한 요인이 될 수 있다.
때문에 ‘호남고속도로 지선 지하화’는 서남부권 국가산업단지 조성사업에 최대 변수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후보시절, 윤석열 대통령 대전지역 공약인 ‘호남지선 확장’에서 한발 더 나아가 확장구간 일부를 지하화한 뒤, 유휴공간을 공원이나 산업단지로 활용하겠다고 약속했다. 당시 이장우 후보는 약 9000억 원을 투입해 호남고속도로 지선구간 중 유성 분기점에서 서대전 분기점에 이르는 7km를 지하화하겠다는 공약을 제시했다.
주무 부처인 국토교통부 입장 변화가 있을 것인지도 주목된다. 대전시 실무진은 지난해 7월 이장우 시장 취임 직후 국토부를 방문해 호남지선 7km 지하화 사업 추진 등을 건의했지만, 당시 국토부는 “지하화 구간 상부를 다른 용도로 활용하는 계획은 지하화 사업비 증가로 인해 경제성 확보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며 부정적 반응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