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장우 “나노·반도체 국가산단 지정, D-밸리 초석 마련”
15일 국토부 공모 확정 발표, 550만㎡ 규모 6조 2000억 생산유발효과, 맞춤형 산단 공급
[한지혜 기자] 나노·반도체 국가산업단지 후보지로 선정된 대전시가 '대전형 산단 클러스터(D-Valley)' 조성 청사진을 내놨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15일 오후 1시 30분 시청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토부가 신규 국가산업단지 후보지로 유성구 교촌동 일원 530만㎡를 최종 확정했다고 밝혔다.
대전 나노·반도체 국가산단은 이번에 지정된 15곳 중 수도권을 제외하고 최대 규모다. 시는 공모에 국가첨단기술분야로 지정된 나노·반도체 산업과 신성장 산업인 우주항공, 도심교통항공(UAM) 등 연관 산업을 유치해 고부가가치 첨단산업 클러스터 형태로 조성하겠다는 구상을 제시했다.
산단 조성 시 예상되는 생산유발효과는 6조 2000억 원, 고용창출효과는 3만 5000명이다. 사업비는 오는 2030년까지 총 3조 4585억 원이 투입된다.
다만, 산단용지 중 80% 가량은 농지를 포함한 개발제한구역에 속한다.시는 공모 전후 국토부, 농림부 등과 접촉해 규제 문제를 사전 협의했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이번 국가산단 선정은 산업단지 전담부서 신설 등 조직개편을 통해 꼼꼼하게 준비해온 결과”라며 “내년부터 2025년까지 그린벨트 해제 등 산단 승인절차를 이행하고, 2028년 완공을 목표로 기업 유치에도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형 산업클러스터 ‘D-Valley’ 청사진
이번 국가산단 유치로 시의 산단 공급 정책이 탄력을 받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현재 지역 내 산업단지는 총 13개소, 429만 평 규모이나, 대덕연구개발특구(315만 평) 중심으로 편중돼있다.
시는 대전형 산업클러스터(D-Valley) 조성을 위해 ▲기업수요 맞춤형 산업단지 개발(Time) ▲산업단지 조성 집중예산 확보(Fund) ▲산업단지 전 주기 관리를 위한 플랫폼 구축(Cycle) ▲Fast트랙 실무전략 TF팀 운영(Collaboration) 등 4대 추진전략(TFCC)을 수립했다.
시는 공급자 중심에서 탈피해 기업의 선호와 필요에 따라 용지를 공급하는 기업수요 맞춤형 방식을 최우선 시행할 방침이다. 공영개발 방식을 원칙으로 올해 하반기부터 30만 평 이하 소규모 특화형 산업단지 개발계획을 내놓기로 했다.
이외에도 임기 내 매년 1000억 원 규모의 산업단지 조성 예산을 상시 운용해 공공지원금 지원, 미분양용지 매입, 휴폐업공장 매입, 공공임대지식산업센터 건립 등도 추진할 계획이다.
이장우 시장은 “대덕연구개발특구를 중심으로 4대 미래전략 산업축, 동서지역 균형발전축을 구축해 대전형 산업클러스터(D-Valley)를 만들 것”이라며 “기존 10년 이상 소요되던 산단 공급기간을 최소 3년까지 단축하고, 연구개발 중심에서 실증, 사업화까지 아우를 수 있는 산단으로 조성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