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군의회, 김태흠 "삽교역→내포역으로" 발언에 '반발'

김은미·최선경 “향후 ‘충남도청역’ 가능성..역사명은 홍성·예산 합의 필요”

2023-02-27     황재돈 기자
김태흠 충남지사가 가칭 ‘서해선 삽교역’ 명칭을 ‘내포역’으로 명명하자 홍성군의회 의원들이 즉각 반발했다. 주된 이유는 행정상 없는 명칭인 ‘내포’를 역사명으로 사용함으로써 향후 ‘충남도청역’으로 바뀔 개연성이 높다는 이유에서다. 황재돈 기자.

[황재돈 기자] 홍성군의회 의원들은 27일 가칭 ‘서해선 삽교역’ 명칭을 ‘내포역’으로 명명한 김태흠 충남지사 발언에 반발하고 나섰다. 행정상 없는 명칭인 ‘내포’를 역사명으로 사용함으로써 향후 ‘충남도청역’으로 바뀔 개연성이 높다는 이유에서다.

홍성군과 예산군은 충남도청 소재지 상징성을 부각할 수 있는 ‘충남도청역’ 명칭을 선점하려는 움직임을 보인 만큼, 향후 역사명을 두고 두 지역 갈등의 ‘뇌관’이 될 전망이다. 

김 지사는 이날 오전 도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실국원장회에서 송무경 공공기관유치단장의 충남혁신도시 관련 보고 뒤 “앞으로 도에서 삽교역을 부를 땐 '내포역'으로 하라”고 주문했다.

김 지사는 이어 “2025년 말 내포역이 완공될 예정”이라며 “그동안 내포역 주변 개발계획을 수립하고, 완공 전 어느 정도 개발이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홍성·예산, ‘충남도청역’ 명칭 선점 움직임


앞서 홍성군은 홍성역을 ‘충남도청역’ 또는 ‘충남도청 홍성역’으로 전환할 것을 도에 강하게 요구했다. 예산군 역시 공식 입장은 없었지만 “군민들이 ‘충남도청역’ 명칭을 희망한다”는 뜻을 간접적으로 피력해왔다.

이에 도는 지난 2021년 1월 지역 간 갈등을 유발할 수 있다고 판단해 ‘충남도청역’ 사용 여부에 우려를 표명했다.

당시 도 관계자는 “국토부 역명 제정지침을 보면 지역명을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라면서도 “국토부 역명 심의위원회서 역사명을 제안하면 홍성과 예산에 의견을 물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은미 홍성군의회 의원(왼쪽)과 최선경 의원. 자료사진.

하지만 이날 김 지사 발언은 두 지역 의견이 충분히 수렴되지 않은 상태에서 나오면서 적지 않은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홍성군의회 의원들은 강하게 반발했다.

김은미 군의원(국민의힘·가선거구)은 이날 <디트뉴스>와 통화에서 “(김 지사의)갑작스러운 발언에 난감하다”며 “사실 '내포'라는 명칭은 행정상 존재하지 않는다. 추후 '충남도청역'으로 이름 붙여질 수 있는 만큼 대응에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최선경 의원(더불어민주당·가선거구) 역시 “'내포역'이라고 부르는 것은 향후 '충남도청역'으로 갈 가능성이 높은 시그널이라는 생각”이라며 “역사 명칭은 홍성과 예산군의 합의가 필요한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충남도 "홍성·예산 상생으로 가야" 수습 나서


도는 김 지사의 발언이 '충남혁신도시인 내포신도시를 키우겠다'는 의지에서 나온 것으로, 반목보다는 상생 협력의 길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향 도 대변인은 “김 지사는 여러 차례 삽교역 명칭의 문제점을 언급해 왔다”며 “이날 ‘내포역’ 발언은 두 지역에 산업단지를 조성하고, 내포신도시를 확장하자는 의미에서 붙여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주 대변인은 또 “홍성군과 예산군이 민선8기 들어 ‘상생’을 강조하는 만큼, 역사 명칭을 두고 갈등으로 비쳐지는 것은 부적절하다. 더 좋은 역사명이 나온다면 충분히 고려될 사안”이라고 수습에 나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