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에 국립 의과대학 신설 절실한 이유
[충남의 목소리-⓶] 원진기 충남공공보건의료지원단 책임연구원 “지방 의료시스템 구축 ‘공주대 의대’ 신설 필수”
지난 15일 내포혁신플랫폼에서 대통령 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와 대통령 충남 공약 지원을 위한 간담회가 열렸다. 이날 간담회에선 지지부진한 대통령 지역 공약 이행을 촉구하는 한편, 지역 현안사업 지원을 요청하는 목소리가 쏟아졌다. <디트뉴스>는 지역의 목소리가 중앙 정부에 전달될 수 있도록 전문가 견해를 정리해 연속 보도한다. <편집자주>
[황재돈 기자] “위급한 건 ‘지방 소멸’보다 빠른 ‘의료 소멸’에 있습니다. 이것만은 꼭 기억해 주길 바랍니다.”
원진기 충남공공보건의료지원단 책임연구원은 지난 15일 대통령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충남공약 지원 간담회에서 ‘지방 의료시스템 붕괴’를 우려했다. 지방 소멸 원인 중 하나로 지역의료 소멸을 꼽은 것이다.
그는 먼저 지역 보건의료 시스템이 갖춰지지 않아 사람들이 대도시로 이동하는 현상을 설명했다.
“제 후배는 공공기관 이전에 따라 전남 나주 혁신도시로 이사를 갔지만, 아내가 따라오지 않으려고 한답니다. 아이를 낳고 기르기 힘들다는 이유에섭니다. 후배는 본인의 수술을 위해 주말마다 나주에서 대전까지 이동했다고 합니다.”
인간의 가장 원초적이고 기본적인 본능인 ‘생존’이 위협받으면서, 의료 인프라가 갖춰지지 않은 지역을 떠난다는 사람이 많다는 한 예이다.
충남 역시 의료 인프라 취약지역으로 꼽히고 있다.
국립중앙의료원(2021년 기준) 의료 취약지 분석 자료에 따르면, 충남은 15개 시·군 중 10곳이 취약지역으로 조사됐다. 충남 북부권인 천안·아산·당진과 대전과 인접한 논산·계룡을 제외한 전 지역이다.
의료시스템 부족 현상은 도민 삶의 질과도 직결된다. 노인 인구에서 많이 걸리는 질병인 고혈압과 당뇨, 심혈관 질환 환자수가 전국 대비 높게 나타난 것.
원 연구원 분석에 따르면, 충남은 인구 10만 명당 고혈압 환자수 전국 3위, 당뇨병 환자 5위를 차지하고 있다. 전문의료서비스가 필요한 심혈관 질환, 뇌혈관 질환 환자수는 인구 1000명당 61.8명과 56.8명으로 전국 6위에 해당한다.
충남 시·군별로 보더라도, 의료취약 지역의 심뇌혈관 질환 환자수는 월등히 높은 수준이다. 대학병원 2곳이 위치한 천안시는 인구 1000명 당 심혈관 질환 45.7명, 뇌혈관 질환 39.9명인데 반해, 의료 취약지인 금산군과 서천군 등은 100명 대를 웃돌고 있다.
국립 의대가 없는 충남과 전남, 경북은 입원 자체충족률과 전문질환군 입원 자체충족률에서도 ‘전국 최하위’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의료자원 수도권 집중화 심화.."병상 총량제, 지역수가제 도입해야"
원 연구원은 '수도권 의료자원 집중화' 문제도 제기했다. 코로나19로 인해 수도권에 병상 수를 급격히 늘렸고, 이에 따른 의사 인력도 쏠림 현상이 심화됐다는 것이다.
반대로, 지방은 높은 연봉을 제시해도 의사 인력 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실제 지방의료원이나 공공병원은 2억5000만원, 3억6000만원 연봉을 제시해도 의사를 구하기 힘든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원 연구원은 “지방은 높은 연봉을 지급해도 의사 인력 수급이 어렵다”며 “지방 국립대 의대가 없는 곳은 의사 자체충전률이 매우 떨어진다. 지방 의사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의대 설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지역에 근무할 의사 양성과 지방을 살리기 위해 국립 의대는 반드시 필요하다”며 “국립 공주대 의과대를 설치하고, 의료취약지인 서남부지역에 부속병원을 설치한다면 의료안전망이라는 공공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끝으로 “시장 실패가 일어나는 지역들에 정부의 개입이 필요하다”며 “지역 균형발전을 위해선 ‘수도권 병상 총량제’와 더불어 ‘지역수가제 도입’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