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조원 규모 대전 호국보훈파크 건립 ‘기대와 우려’

대통령 지역 공약 시너지, 국비 확보 시급 그린벨트(GB) 해제 관건, 개발방식 고심

2023-02-14     한지혜 기자
이장우 대전시장 공약집 갈무리. 복지 분야 1번 공약으로 호국보훈파크 사업이 명시돼있다.

[한지혜 기자] 정부 국정과제이자 이장우 대전시장 공약인 ‘대전 호국보훈파크’ 건립 사업이 1조원 규모로 몸집을 불린다. 전국 최대 추모‧휴양 테마파크를 목표로 삼고 있는 만큼 재원 마련이 시급하다. 

호국보훈파크는 유성 구암동 현충원역 일원에 들어선다. 약 109만 여㎡(33만 여 평) 규모로 기존(70만 5000㎡) 대비 규모가 크게 늘어났다. 총 사업비는 9576억 원이다.

주요 시설인 보훈커뮤니티센터 내에는 부상제대군인 트라우마센터, 제대군인 취‧창업 플랫폼, 보훈병원, 보훈도서관 등이 포함된다. 보훈광장‧공원과 함께 국가보훈대상자 주거시설인 베테랑스 빌리지, 국군휴양시설과 숙박시설 등 문화복합시설도 함께 들어선다.

시는 최근 기초‧타당성 용역을 마치고 검토 절차에 착수했다. 하반기 중 KDI(한국개발연구원)에 타당성 조사를 의뢰할 계획이다.

사업 소요 예산이 1조원에 가까워지면서 정부와의 재원 분담 등 예산 확보 필요성도 시급해지고 있다. 시는 우선 이달 중 국가보훈처와 협의를 통해 국비 확보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개발방식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으나, 시는 수익성을 담보할 수 있는 시설 등을 포함해 민간 컨소시엄까지 염두하고 있다.

현충원역 주변 일대의 개발제한구역 해제 문제도 남아있다. 최근에는 정부가 권한 이양 차원에서 비수도권 시‧도지사가 해제할 수 있는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의 규모를 100만㎡ 이내까지 확대하면서 청신호가 켜졌다. 시는 오는 7월 중 예정된 국토부의 세부지침 발표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시 복지정책과 관계자는 “공공, 민간 참여 등 개발 방식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고, 하반기 국토부 지침을 살펴 결정할 계획”이라며 “보훈처와의 협의 등을 통해 국비를 확보하는 게 우선 과제이고, 그린벨트 해제 행정절차 등을 고려해 계획된 시기대로 진행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