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흠 충남지사 “삽교역 건립, 예산군 부담 줄일 것”
기재부와 협의 과정서 국비 ‘790억 증액’ 성과 설명 예산군 부담 135억 5000만원서 절반 수준 감축 시사
[안성원 기자] 김태흠 충남지사가 26일 “서해선복선전철 삽교역사 건립사업의 국비 전환은 반영되지 않았지만, 대신 예산군의 건립 예산 부담을 대폭 감축하겠다”고 밝혔다.
김 지사는 이날 충남도청 브리핑룸에서 가진 내년도 정부 예산 확보 관련 기자회견에서 “기재부가 기존 지방비 건립 계획대로 진행할 것을 요청하며 1210억 원 규모의 대안사업을 제시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삽교역은 당초 건립비 271억 원을 충남도와 예산군이 각각 50%씩 부담해 2026년까지 완공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김 지사는 “국가 기간망 사업인 만큼, 국비로 추진하는 것이 옳다”며 원점 재검토를 지시한 바 있다.
그러나 기재부는 ‘불가 입장’을 고수했고, 수차례 협의 과정에서 대안으로 신규사업 반영을 제안해 왔다는 게 김 지사 설명이다.
김 지사가 공개한 기재부 제안 사업은 ▲청정수소 시험평가 및 실증화 지원 기반구축(450억 원) ▲탄소포집기술 실증센터 구축(280억 원) ▲원산도 해양레포트센터 조성(60억 원) 등 3개로 사업규모가 총 1210억 원에 이른다. 이중 국비가 790억 원을 차지한다.
김 지사는 “탄소포집기술 센터는 20억 원이, 원산도 사업도 150억 원이 더 증액됐고 내포에 들어오는 청정수소 사업시설도 360억 원이 정부 예산”이라며 “결과적으로 (삽교역사 국비 전환 대신) 국비 790억 원을 확보할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중앙정부와 싸우면서 (삽교역 신설) 사업을 지연시킬 순 없기 때문에 민선7기 결정대로 가겠다”고도 했다.
그는 이어 “도 예산안에 삽교역 관련된 사업비를 반영했다”며 “예산군 재정 상황이 어렵기 때문에 도가 3분의 2를, 또는 200억 원을 부담하는 방식으로 협의해 군의 부담을 줄여주겠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김 지사의 의중이 현실화 될 경우 예산군의 부담은 현재 135억 5000만 원에서, 70~90억 원 수준으로 대폭 줄어들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