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흠 공약 ‘천안 성환종축장 개발’ 선결 과제는
尹대통령 면담서 ‘도유지↔국유지’ 맞교환 건의 2027년 이전 계획 앞당길 필요성 대두
[황재돈 기자] 충남 천안시에 위치한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발부(천안 성환종축장)’ 부지에 첨단 산업단지를 조성키 위해 ‘종축장 조기 이전(전남 함평)’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종축장 이전은 2027년에서야 마무리되기 때문에 당장 부지를 필요로 하는 대기업 유치 기회를 날려버릴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18일 충남도와 천안시에 따르면, 도와 시는 지난 2018년 11월 전남 함평군으로 이전 확정 된 천안 성환종축장에 4차 산업 혁명 ‘첨단 국가산업단지’를 조성해 핵심성장 거점으로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사업계획을 보면, 2020년부터 2027년까지 종축장 전남 이전을 추진하고, 2028년 이후 첨단 국가산단 조성을 위한 첫 삽을 뜨겠다는 복안이다. 이 같은 계획은 윤석열 대통령과 김태흠 충남지사의 지역공약이기도 하다.
‘충남산림자원연구소↔천안종축장’ 맞교환 추진
종축장 개발 계획은 민선8기 들어 구체화되고 있다. 김 지사의 대표공약 ‘베이밸리 메가시티’ 조성과 맞물려 사업이 본격화되고 있기 때문.
‘베이밸리 메가시티’는 충남 북부와 경기 남부에 걸쳐 있는 자동차 산업과 디스플레이, 반도체, 수소 산업 등을 묶어 미국 실리콘벨리처럼 만들겠다는 것이다.
실제 김 지사는 지난 18일 윤 대통령과 1시간 20분가량 면담을 통해 세종에 위치한 충남산림자원연구소와 천안시 성환종축장 맞교환 방안을 제안했다고 19일 기자간담회서 밝혔다.
세종으로 편입된 충남산림자원연구소 문제를 해결하고, 국가 땅인 천안 성환종축장을 도 차원에서 개발하는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복안으로 풀이된다.
도에 따르면, 성환종축장은 418ha에 공시지가는 1879억이며, 연구소는 269ha에 1688억 원으로 예상했다. 규모와 공시지가에서 차이는 있지만, 연구소 내 박물관과 휴양림 시설 등을 포함하면 전체적인 가치는 엇비슷하다는 게 도의 설명이다.
김 지사는 이날 간담회에서 “감정평가를 했을 때 가격차가 크지 않다는 측면에서 (대통령께) 맞교환을 제안했다”며 “이해타산이 맞지 않아 어려울 수 있지만, 세종시에 편입된 충남 재산인 산림자원연구소만큼은 국가에서 돌려줘야 한다는 부분을 인식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종축장 조기 이전 전방위 노력 필요"
하지만, 기획재정부가 이를 수용할지는 미지수다. 타 시·도에서도 충남처럼 맞교환을 요구할 수 있는 선례를 만들 수 있기 때문.
따라서 천안 성환종축장 개발을 위해 현실적으로 가능성이 낮은 부분에 집중하기보다, 농림축산식품부 등을 상대로 종축장 이전 시기를 앞당기기 위한 전방위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안종혁 충남도의원(국민의힘. 천안3)은 <디트뉴스>와 통화에서 “반도체 등 첨단산업 경우 수요에 따른 시의성이 매우 중요하다”며 “기업들은 당장 공장 부지가 필요한데, 5년 후에야 착공할 수 있는 부지를 언제까지 기다릴 수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비유적으로, 전 세입자가 집을 비워주지 않아 다른 세입자를 놓칠 수 있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며 "도와 시는 농림축산식품부를 통한 종축장 이전을 현실적으로 앞당기는 전방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충남도에서 (성환종축장)조기 이전 계획을 세울 수 없지만, 2027년으로 정해진 이전 로드맵에서 2년 정도 단축을 시켜달라는 게 우리의 생각”이라며 조기 이전 의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