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방산혁신클러스터, 방사청 이전으로 탄력
국방기술진흥연구소 산하 대전사업단 개소 드론·국방R&D 분야 연계생태계 구축 속도
[한지혜 기자] 대전시 방산혁신클러스터 조성 사업이 방위사업청 이전과 함께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시는 이달 중순 국방기술진흥연구소와 대전사업단 개소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내달 말 사업단을 출범한다.
방산혁신클러스터 조성 업무를 이끌 대전사업단은 이달 말 카이스트(KAIST) 문지캠퍼스 내에 들어선다. 시는 지난 6월 정부 공모에 선정, 오는 2026년까지 5년 간 국·시비 총 490억 원을 들여 클러스터를 조성할 계획이다.
사업은 전국 최고 수준의 R&D 역량, 국방산업 인프라를 결집해 초광역 개념의 산·학·연·군·관 상시협력 생태계를 조성하는 게 골자다. 특히 드론분야 특화 로드맵을 수립, 글로벌 기술경쟁력을 확보하고, ETRI 등 정부출연연구원을 중심으로 방산특화개발연구소도 구축하기로 했다. 연구·시험·실증 등 인프라 지원, 지역 중심 방위산업 일자리 특화 사업 등도 함께 추진한다.
오는 2026년을 목표로 조성되는 안산첨단국방산업단지는 클러스터 조성에 핵심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안산국방산단은 유성구 안산동과 외삼동 일원으로 총면적 159만7000㎡, 산업용지는 52만1000㎡ 규모다. 사업비 약 1조4000억 원을 들여 구축한다.
시는 내년까지 행정절차를 완료하고, 2024년 보상과 함께 착공해 2026년 완공하는 청사진을 수립했다. 시에 따르면, 현재까지 안산산단 입주 등 투자의향서를 제출한 업체는 모두 171곳이다. 이중 국방 관련 업체는 92개소다.
방사청 이전 확정 청신호, 그린벨트 해제 관건
시는 방사청 이전 확정과 함께 클러스터 조성 사업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앞서 정부는 방사청을 대전 이전공공기관으로 지정하는 안을 고시하고, 이전 준비 예산 210억 원도 내년도 정부예산(안)에 편성했다. 또 앞서 지난 7월 대전시와 방사청은 방산혁신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정부는 우선 200~300명 규모의 이전 준비 TF팀을 이전하고, 향후 부지 등을 확정해 이전 작업에 나서겠다는 구상이다. 현재 논의되고 있는 방사청 이전 부지는 안산첨단국방산단(유성구), 정부대전청사 제3청사 유휴부지(서구), 옛 쌍용연구소 부지(유성구) 등 3곳이다.
안산국방산단은 연계 협력, 시너지 측면에서 효과적이나 그린벨트 해제 등 완공까지 다소 시간이 소요되고, 나머지 2곳은 즉시 기본설계가 가능해 입주 시기를 앞당길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특히 안산 산단의 경우, 그린벨트 해제를 위한 정부와의 협조가 필수적이다.
시 투자유치과 관계자는 “방사청 이전이 확정되는 등 여건 상 호기에 접어들면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그린벨트 해제 등 남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방면으로 힘쓰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