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득권 관행 깨자”...民 대전시당 ‘평당원 요구’ 실현될까?

평당원 모임 ‘민주만민공동회’...시당위원장 선출방식 개혁 요구 시당 “시민선거인단제 도입, 당헌·당규 개정해야 가능...난색”

2022-07-20     김재중 기자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 평당원 모임인 '민주만민공동회'가 지난 18일 저녁 시당에서 2차 만민토크콘서트를 열고 있다. 민주만민공동회 제공.

[김재중 기자] ‘평당원도 시당위원장으로 선출될 수 있어야 한다.’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 내부에서 일고 있는 혁신의 목소리가 성과를 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민주당 대전시당 당원 140여명이 참여하고 있는 ‘민주만민공동회’는 지난 2일과 18일 두 차례에 걸쳐 토론회 성격인 ‘만민토크콘서트’를 열고, 대통령 선거와 지방선거에서 패배한 당을 혁신하기 위한 몇 가지 대안을 제시했다.

당내 기득권 관행을 씻어내야 한다는 것이 핵심 내용이다. 이들은 “평당원도 시당위원장으로 선출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궁극적으로는 당내 선거제도와 의사결정 구조를 개혁해야 한다는 자성의 목소리를 담았다.

물론 현재도 평당원이 시당위원장 후보로 등록할 수 있고, 얼마든지 경선을 통해 당선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지역위원장 중심의 논의구조, 대의원과 책임당원 중심의 선출 방식, 기탁금 등 진입장벽 때문에 ‘평당원의 시당위원장 도전’은 대단히 비현실적이라는 게 중론이다.

민주만민공동회는 “시민선거인단을 모집해 시민선거인단 투표와 당원 투표를 적절한 비율로 정해 시당위원장을 선출하자”고 제안했다. 선출직 후보 경선방식인 개방형 제도를 도입하자는 취지인데, 시당의 대표를 뽑는 당내 선거에 일반 시민이 참여하는 게 과연 합당하냐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시의원 출신인 김동섭 민주만민공동회 공동대표는 “연이은 선거 패배에도 불구하고 특정 국회의원이 ‘이번엔 내가 시당위원장이 될 차례’라고 언급할 정도로, 관행적 사고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며 “당의 쇄신과 혁신을 위해 무엇이라도 해야 하지 않느냐는 평당원들의 위기감과는 괴리된 모습”이라고 비판했다.

김 대표는 “조승래, 장철민 국회의원 등은 기탁금 문제를 전향적으로 고려해 (시당위원장 후보의) 진입장벽을 낮추자는 의견에 동의하거나, 시당 회계 문제를 투명하게 공개하는 등 만민공동회 활동이 긍정적 효과를 내고 있다”며 “평당원들이 제안한 내용에 대해 당 지도부가 더욱 전향적인 자세를 취하길 바란다”고 요구했다.

그러나 시당위원장 선출방식 등을 변경하려면 중앙당 당헌·당규 개정이 필요하기에 시당 차원의 논의로 해소하기 어렵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시당 관계자는 “시민선거인단제 도입 등 시당위원장 선출방식 변경은 시당 차원에서 논의할 일이 못된다”며 “당헌·당규를 개정해야 가능하고, 최소한 예외규정을 적용하려고 해도 당무위 의결이 있어야 하기에 궁극적으로 중앙당의 의지가 있어야 가능하다”고 말했다.

민주당 시당위원장 선출은 단수후보 출마시 ‘대의원 인준’ 등 요식절차만 거치면 가능하다. 지역위원장을 맡고 있는 국회의원들이 순번제로 돌아가며 시당위원장을 맡을 수 있는 구조다.

여러 후보가 출마해도 결과는 마찬가지다. 대의원과 책임당원 투표를 각각 50% 반영하는 구조여서, 소수 대의원이 선거결과를 좌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표의 등가성 문제는 민주당 내부에서 여전히 ‘뜨거운 감자’다.

현재 민주당 대전시당은 박영순 전 시당위원장(대덕구)이 지방선거 패배 책임을 지고 사퇴하면서 장철민 의원(동구)이 위원장 직무대행을 맡아 운영하고 있다. 시당은 내달 14일, 당대표·최고위원 지역 합동연설회 시점에 차기 시당위원장을 선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