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경제영토 확장’ 미·중·일 해외통상사무소 복원키로

설립 타당성 검토 등 거쳐 내년 상반기 개소 목표

2022-07-19     황재돈 기자
충남도가 지난 2016년 폐쇄된 미국과 중국, 일본 해외통상사무소 복원에 나섰다. 자료사진.

[황재돈 기자] 충남도가 지난 2016년 폐쇄된 미국과 중국, 일본 해외통상사무소 복원에 나섰다. 해외경제조직을 부활시켜 도내 중소기업들의 해외시장 수출 지원과 투자유치는 물론 해외지방정부와 교류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함이다.

길영식 도 경제실장은 지난 18일 실국원장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해외통상사무소 추가건립 계획을 김태흠 지사에게 보고했다.

19일 도에 따르면, 우선 충남연구원에서 설립 타당성 검토를 진행한 뒤 충남북부상공회의소 등 기업단체에 설치지역과 운영방향 의견수렴을 거칠 예정이다. 이후 기본계획 수립과 도의회 승인을 거쳐 내년 상반기부터 순차적으로 사무소를 개소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운영방식은 KOTRA무역관 원루프 사업 참여나 도(道) 독자 운영 등 다각적으로 검토하겠다는 계획이다.

현재 시·도별 해외통상사무소 운영현황을 보면, 경기도가 14곳으로 가장 많고, 경북·경남(6곳), 부산·대전·전남(5곳), 광주·강원(4곳), 대구·충남(3곳), 제주(2곳), 전북·충북·인천(1곳) 순으로 나타났다.

충남은 2020년 기준 GRDP(지역내총생산) 전국 3위 수준이지만, 해외 수출지원 강화를 위한 인프라는 부족한 게 현실.

앞서 도는 지난 2016년 행정안전부의 지방 해외사무소 구조조정 방침에 따라 기존 미국 LA, 중국 상해, 일본 구마모토 해외사무소를 모두 폐쇄했다. 이후 문재인 정부 ‘친(親)남방정책’ 기조에 발맞춰 베트남(하노이)과 인도네시아(자카르타), 인도(뉴델리)에 해외통상사무소를 개소했다.

홍만표 도 국제통상과장은 “민선8기를 맞아 도내기업 맞춤형 수출지원, 해외 지방정부와 협력 강화를 위해 사무소 추가 설립을 계획 중”이라며 "충남연구원에 정책과제를 줘 어떤 형태로 운영하는 것이 효율적인지 우선 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