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통대전 ‘존폐논란’...황운하 “대전시, 지방현실 외면”
15일 취임, 이석봉 경제부시장 “서민정책 아냐” 온통대전 폐지에 무게
[김재중 기자] 대전 정치권에서 지역화폐인 ‘온통대전’ 존폐 논란이 불 붙었다. 이장우 대전시장이 ‘온통대전’ 축소·폐지 방침을 밝힌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소속 황운하 국회의원(대전 중구)이 “지방 현실을 외면한 전형적인 탁상행정”이라고 이 시장을 비판하고 나섰다.
15일 황 의원은 대전시가 다음 달부터 연말까지 온통대전의 월 충전 한도와 캐시백 비율을 하향 조정하기로 한 것에 대해 “지역경제 버팀목인 온통대전이 대전시의 숫자놀음 앞에 폐지될 위기에 처해 있다”며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하지 못한다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서민에게 돌아갈 것”이라고 경고했다.
앞서 이장우 대전시장은 최대 1인당 충전 한도를 월 50만 원에서 30만 원으로, 캐시백 혜택을 기존 10%에서 최소 5%로 축소한다고 밝힌 바 있다. 연말에는 온통대전 폐지 검토를 시사하면서 지역경제 침체와 지역 소득 역외 유출로 인한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이 시장은 ‘온통대전’의 캐시백 혜택이 소비력 있는 특정계층에게만 돌아간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대해 이 시장이 지역 전통시장과 소상공인, 자영업자 매출 증가와 다양한 정책기능 확보 등 지역화폐 순기능을 간과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날 취임한 이석봉 대전시 경제과학부시장도 이장우 시장과 동일한 인식을 드러냈다. 이 부시장은 인사차 대전시청 기자실을 방문한 자리에서 온통대전에 대해 “돈 있는 사람을 위한 정책이지 서민을 위한 게 아니다”라며 “선택적 복지가 맞지, 보편적 복지는 맞지 않다”고 부정적인 인식을 나타냈다.
황운하 의원은 “그동안 온통대전이 지역소비를 진작시켜 골목상권 활성화와 지역경제활력의 선순환에 크게 기여한 것이 사실”이라며 “지역민들 호응이 높은 정책을 일방적으로 하루아침에 뒤엎는 것은, 전임 시장 지우기 정책으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황 의원은 “올해 3월 대전세종연구원이 제출한 보고서에 따르면, 온통대전은 전체 사용액의 약 21.9%가 지역 소상공인의 매출 증대로 이어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소득재분배와 저소득층 소비지원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고 있다”며 “대전시장의 온통대전 축소·폐지 방침은, 지속적인 재정투입과 지역화폐 사용을 위한 캠페인 강화를 요구하고 있는 연구원의 보고서 내용과도 정면을 배치된다”고 꼬집었다.
황 의원은 “코로나19 재유행 기미가 보이고, 가파른 물가상승으로 인해 서민경제는 심각한 상황에서 이장우 대전시장은 지역 소상공인들과 서민들이 겪고 있는 고통을 헤아려 온통대전의 축소·폐지 방침을 철회하라”고 주문했다.
대전 지역화폐 ‘온통대전’은 지난 4월 기준 사용자 99만 명, 카드 발급 120만 장, 누적 발행액 3조 3000억 원에, 연간 발행액은 광역시 중 인구 대비 1위인 것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