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시민단체, 연일 이장우 시장 성토...갈등 표면화
이장우, 시민단체 겨냥 “반대를 위한 반대, 도시경쟁력 훼손” 시민단체도 연일 성명전 “한 사람이 집단의 결정 좌우, 독재”
[김재중 기자] 이장우 대전시장이 취임하자마자 지역 시민단체와 대립각을 세우면서 심각한 갈등이 벌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 이 시장이 지난 5일 첫 확대간부회의에서 시민단체 등의 시민참여를 “시민의견 왜곡”으로 규정하고 각종 민·관거버넌스 폐기방침을 밝히자 갈등이 표면화됐다.
11일 대전충남 녹색연합 등이 참여하는 ‘보문산도시여행인프라조성사업 중단 시민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는 “보문산 민관공동위원회의 합의 과정에 대해 ‘반대를 위한 반대’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등 공식 석상에서 부적절한 발언을 반복하고 있다”며 “지난 민관협의 과정을 무시하고, 민주주의 숙의의 과정을 왜곡하는 발언”이라고 질타했다.
이들은 “행정 실무의 연속성을 훼손할 뿐 아니라, 시민의견 수렴 결과를 시장 한 사람의 판단에 따라 좌지우지할 수 있다는 오만함의 귀결”이라며 “이 시장의 발언은 시민단체 고유의 역할을 부정할 뿐 아니라, 시민단체의 행정 견제의 역할을 의도적으로 축소하려는 것으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고 우려했다.
‘독재’에 대한 언급까지 나왔다. 대책위는 지난 지방선과 결과에 대해 “대전시민들은 여전히 제자리를 지키고 있었고, 한 사람이 새로운 시장으로 취임했을 뿐”이라며 “한 사람의 결정에 의해 집단의 결정이 좌지우지되는 것을 ‘독재’라고 한다. 부디 이장우 시장은 시민단체 운운할 것 없이, 본인부터 시민참여 숙의 과정을 존중하기를 바란다”고 요구했다.
앞서 지난 7일 대전지역 10여개 진보단체로 구성된 대전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이하 연대회의)도 성명을 내고 이 시장의 확대간부회의 발언을 비판했다.
연대회의는 “이장우 시장은 이번 회의에서 ‘민관거버넌스의 폐기’를 언급했다. 지방행정의 논의 파트너에서 시민을 배제하려는 이런 시도는 명백히 시대에 역행하는 것”이라며 “시장은 초법적 권력이 있는 자리가 아니며 대전시민이 일시적으로 권한을 위임한 위정자다. 법과 조례에 근거한 위원회 부터 지역 주민의 이야기를 듣고 반영하는 다양한 민관거버넌스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한 것이 아닌지 의심가는 지점”이라고 꼬집었다.
“시민의 직접참여를 늘리겠다는 이야기를 하고 싶었다면 그 실행방안 역시 같이 제시되어야 하지만 이번 발언에서 그러한 내용을 찾아보기 어렵다”고도 지적했다.
이들은 이어 “2.39%p의 적은 격차로 당선된 이장우 대전시장에게 필요한 것은 일방적인 권위적 리더십이 아니라 ‘소통과 조정의 리더십’”이라며 “시장 개인의 정치적 욕심을 위해 반대하는 의견을 듣지 않겠다는 단언은, 지난 선거에서 투표에 참여하지 않은 시민과 이장우 시장을 선택하지 않은 모든 시민을 적으로 돌리고 임기를 시작하는 것”이라고 질타했다.
이장우 시장은 지난 5일 첫 확대간부회의에서 5분 안팎의 짧은 메시지를 냈던 전임 시장과 달리 이례적으로 1시간 14분 동안 대대적인 조직개편과 인사, 사업방식 변경을 통해 대전시정 전체를 바꿔나가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특히 민선 7기에서 허태정 전 시장이 ‘시민의 힘으로’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추진했던 각종 위원회, 센터 활동 등 ‘시민단체 시정 참여’를 “시민의견 왜곡”, “반대를 위한 반대” 등으로 표현했다.
이에 대해 ‘강성보수’ 이미지가 강한 이장우 시장이 진보성향 시민단체에 대해 노골적인 반감을 드러내며 전임 민주당 정부 지우기에 나선 것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