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장우, 항공우주청 분리 여론에 “기업유치가 더 중요”

“尹, 대전에 항공 우주기업 유치 약속..지역 갈등도 우려” 민선 8기 출범 이후 과학계술계·야권과 갈등 소지

2022-06-27     류재민 기자
대전지역 과학기술계와 야권을 중심으로 ‘항공우주청’ 분리가 필요하다는 주장에 이장우 대전시장 당선인은 윤석열 대통령이 공약한 관련 기업 유치를 통한 ‘실익’ 추구가 중요하다는 입장을 내놨다. 자료사진.

[류재민 기자] 이장우 대전시장 당선인은 대전지역 과학기술계와 야권을 중심으로 ‘항공우주청’ 분리 필요성에 윤석열 대통령이 공약한 관련 기업 유치를 통한 ‘실익’ 추구가 중요하다는 입장을 내놨다. 사실상 우주청의 경남 사천 입지를 수용하겠다는 뜻으로 읽혀 향후 정치적 공방이 예상된다. 

27일 지역 과학기술계와 전문가 등에 따르면 항공과 우주 산업간 연관성이 떨어지고, 우주 관련 산업이 대전에 집적해 있다는 이유로 기관의 ‘이원화’를 제기하고 있다.

윤석열 정부는 현재 우주 정책 전담 청(廳)을 신설한다는 방침만 있을 뿐, 구체적인 계획을 내놓지 못하고 있는 상황. 따라서 지역 과학기술계와 야권은 항공산업과 별도의 우주 산업 발전 방안을 마련해 정부에 특화지역 육성을 건의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과학기술계·야권 ‘항공청’ ‘우주청’ 분리 필요성 제기

양준석 대전세종연구원 연구위원은 지난달 19일 ‘우주정책 전략수립 용역 최종보고회’에서 “대전을 우주청과 항공우주연구원 중심의 연구개발·혁신의 중심지로 조성하고, 항공산업 클러스터를 보유한 사천은 제조 허브로 육성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라고 밝혔다.

문홍규 한국천문연구원 우주탐사그룹장도 같은 달 3일 TBS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 “우주를 국방우주, 공공우주, 상업우주 분야로 나누는데, 이를 관장하는 정부 부처가 세종시에 다 있다”며 “항공 우주, 천문분야 대학이 가장 많이 입주해 있는 곳이 대전·충청이다. 주요 산업체와 정부 출연 연구소도 20개 넘게 입주해 있다”고 대전 입지 당위성을 설명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조승래 의원(민주당. 대전 유성갑)은 지난 21일 누리호 2차 발사 성공 직후 페이스북에 “우주 산업을 선도할 장기적인 비전과 전략, 제대로 된 컨트롤타워를 세워야 한다”며 “지역적, 정치적 논리에 휘둘린 우주청 입지 결정은 재고돼야 한다. 현장 연구자들의 뜻이 반영된 합리적 대안이 도출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정용래 유성구청장 당선인 역시 최근 한 언론 인터뷰에서 “항공과 우주는 완전히 다른 분야로 항공 관련 부서가 국토교통부나 산업부라면 우주는 과학기술부 영역”이라며 “우주청은 따로 떼어 행정과 연구개발기능이 모여 있는 대전에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당선인 “尹 우주기업 육성 공약 취지 존중”
“우주청 떼 오면 좋겠지만, 지역갈등 극심할 것” 

그러나 이장우 시장 당선인은 윤 대통령이 대선 후보 시절 공약한 항공 우주 관련 기업 유치와 자신의 지방선거 당시 공약인 방위사업청 이전에 역점을 두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이 당선인은 <디트뉴스>와 통화에서 “대통령께서 대선 때부터 대전에 항공 우주기업을 육성하는 게 이득이 크다고 말씀했다. 그 취지를 존중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항공우주청을 (우주청으로) 떼어 온다면 좋겠지만, 극심한 지역갈등이 일어나지 않겠나”라며 “방위사업청 이전과 방산기업, 대통령께서 약속한 항공 우주기업 유치 등에 전력투구할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이미 입지가 결정된 상황에서 불필요한 지역감정을 불러일으키는 대신, 경제도시 이미지에 걸맞은 기업 유치에 ‘올인’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조승래 “우주청 설립은 대선 전부터 추진한 사업”
“시장 바뀌어도 전문가 의견 들어 계승할 건 해야”

대전지역 과학연구·산업 기관 및 단체 대표들은 지난 4월 28일 인수위의 지역공약 대국민보고회가 열린 대전컨벤션센터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항공우주청 경남 설립 결정 당위성에 문제를 제기했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새 정부 출범 전 ‘110대 국정과제’ 하나로 ‘우주 강국 도약 및 대한민국 우주시대 개막’을 제시하면서 경남 사천에 항공우주청 신설 추진을 발표한 바 있다. 

다만, 항공우주청의 경우 단순히 하나의 행정기관 유치를 넘어 ‘과학도시 대전’의 정체성과 직결해 있다는 점에서 민선 8기 출범 이후 지역 내 정쟁으로 번질 가능성도 나온다. 

앞서 대전지역 과학연구·산업 기관 및 단체 대표들은 지난 4월 28일 인수위의 지역공약 대국민보고회가 열린 대전컨벤션센터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항공우주청 경남 설립 결정 당위성에 문제를 제기했다. 

신명호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노조위원장은 “인수위가 과학을 유린하고 있다”며 “우주청을 빼앗긴다면 국가의 초석, 미래 우주를 향한 대전의 전망도 사라지는 것이다. 우주항공도시 명예를 보내버리는 것과 같다”고 규탄했다.

조승래 의원은 27일 기자와 통화에서 “물론 기업 유치도 필요하지만, 단순히 행정기관 유치로만 볼 게 아니다. 지역 여론이나 과학기술계와 전문가들 의견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조 의원은 또 “우주청 설립은 대선 이전부터 대전시가 추진해왔고, 입지 필요성을 주장해 온 것이다. 시장이 바뀌어도 시 차원에서 진행해 온 일 중에 계승하고, 보완할 건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