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청 단위 기관 대전으로” 우주청 논란 매듭
청 단위 행정기관 집결 원칙 이행 약속 “대덕특구 재창조, 메가시티 구축 지원”
[한지혜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청 단위 국가기관의 대전 집결 원칙' 이행을 약속하면서 사실상 우주청 입지 논란을 매듭지었다.
이 후보는 이날 오전 9시 50분 대전e스포츠경기장 앞에서 지지자 연설을 마치고, 대전·세종 지역 공약을 발표했다.
이날 이 후보는 우주청 입지 논란과 관련된 질문에 ‘청 단위 기관은 대전으로’라는 원칙 이행 방침을 밝혔다. 앞서 이 후보는 지난 경남 방문에서도 우주청 입지와 관련된 질문에 즉답을 피한 바 있다.
이 후보는 “우주항공산업 분야에 집중 투자해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지만, 산업이 도처에 분산돼있다. 우선 우주전략본부 단위로 시작해 나사(NASA)처럼 만들어야겠다는 구상”이라며 “중앙행정기관은 행정수도 세종에, 청 단위는 대전으로 온다는 방침을 깰 수 없기 때문에 원칙에 따라 될 것이고, 전략본부도 일반적 원칙과 상식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 후보는 공약 발표에서도 “대전은 우주시대 개막의 중심에 서 있고, 항공우주연구원, 국방과학연구원, KAIST, 민간 대규모 연구소, 방산기업과 같은 압도적인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다”며 “대전·세종의 R&D 역량, 논산·계룡 군 역량을 연계해 국가 주력 우주개발의 선도지역, 항공우주분야 연구개발의 허브이자 미래 방위산업의 전략기지로 성장시킬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이 후보는 “청 단위 중앙행정기관을 대전으로 이전해 국가 균형발전을 완성하고, 중기부 이전에 따른 대안으로 기상청과 한국기상산업기술원 등 4개 기관 이전이 신속히 추진하도록 노력하겠다”며 “청 단위 국가기관의 대전 집결원칙을 지킬 것”이라고 밝혔다.
대덕특구 재도약, 충청 메가시티 구축 지원 약속
7대 공약안에는 대덕특구 재창조 사업, 바이오 특화 창업 기반 구축 등도 포함했다. ‘과학수도 대전’ 입지 구축에 힘쓰고 있는 시의 방침, 지난해 ‘K-바이오 랩허브’ 지정에서 탈락한 민심을 보듬기 위한 공약으로 풀이된다.
이 후보는 “대전이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대전환을 선도하기 위해서는 대덕특구의 재도약이 필요하다”며 “창의적인 인재와 혁신의 주체가 서로 연결되는 개방형 생태계, 창업타운 등을 조성하고 충청권 첨단 신기술 실증단지를 만들어 규제로부터 자유로운 기술창업의 중심지로 육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 후보는 “지난해 ‘K-바이오 랩허브’ 후보지가 다른 지역으로 결정되면서 대전시민의 실망이 크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며 “이에 상응하는 혁신 플랫폼인 바이오 파운드리 인프라를 대전에 구축해 해외 기업이 독점하고 있는 바이오 연구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국산화를 이룰 것”이라고 강조했다.
충청권 메가시티 구축의 핵심으로 꼽히는 광역교통망 구축 공약도 제시했다. 대전을 중심으로 세종과 충남 계룡, 충북 옥천을 잇는 ‘대전~세종 간 제2순환고속도로’, ‘대전~세종~충북 광역철도’, ‘보령~대전~보은 간 고속도로’ 등이 세부 공약이다.
이 후보는 “초광역 협력은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과제”라며 “충청권 4개 시도가 추진하고 있는 메가시티 완성을 위해서는 1시간 이내의 광역 생활권을 만들어 광역 경제·생활·문화권을 형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이날 이 후보는 ▲보훈가족을 위한 호국보훈 파크 조성 ▲경부선·호남선 철도 지하화 ▲대전조차장 레일스카이 복합단지 조성 등을 공약으로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