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기재부에 “보령시 신산업 육성 필요”
LNG 냉열 활용 냉매물류단지, 전기차 배터리 재사용 산업기반 구축 ‘제안’ “보령화력 조기폐쇄 대응,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 이뤄져야”
충남도가 기획재정부(기재부)에 보령화력발전 조기 폐쇄에 따른 피해를 지원하기 위해 지역 신산업 육성 필요성을 강조했다.
도는 9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기재부-대전·세종·충청지역 예산협의회’에서 보령지역 경기 침체를 극복하기 위해 ‘LNG 냉열 활용 냉매물류단지 기반 구축’과 ‘전기차 배터리 재사용 산업기반 구축’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아울러 내년도 관련 예산 80억 원도 요청했다.
도는 “정부의 탈석탄·탈원전 에너지 전환 정책에 따라 석탄화력 산업에 의존하는 (보령)지역은 고용위기와 경기침체가 우려된다”고 밝혔다.
이어 “충남은 국내 최대 규모의 보령 석탄화력발전소 1·2호기를 조기 폐쇄함으로써 탄소중립의 정의로운 전환을 선도 중”이라며 “화력발전 조기폐쇄에 대응한 지역 신산업 육성이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에너지 전환의 선도·모범사례 구축이 필요하다는 점도 건의했다.
도는 보령화력 1·2호기 조기 폐쇄에 따라 고용인력 526명, 지역인구 1578명, 소비지출 190억 원이 감소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특히 도는 지난 3월 문재인 대통령 충남방문 당시 “재생에너지 전환은 지역경제에 타격을 주지 않고 아무도 일자리를 잃지 않도록 공정한 방법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발언을 언급, 보령지역 경제 회복을 위한 관련 사업의 조속한 추진을 요청했다.
내년 예산 424억 원 반영 요청
도가 제안한 ‘LNG 냉열 활용 냉매물류단지 기반 구축’ 사업은 보령시 오천면 일원에 2025년까지 350억 원(국비 100억 원, 지방비 50억 원, 민자 200억 원)을 들여 보령LNG터미널에서 발생하는 냉열을 활용한 냉동창고 운영을 사업 내용으로 담고 있다.
바다에 버려지는 보령 LNG 터미널의 냉열을 냉매물류단지에 공급·활용하기 위한 열교환기 등 기반인프라 조성 지원을 통해 관련 기업 유치해 지역 신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복안이다.
‘전기차 배터리 재사용 산업기반 구축 사업’은 보령시 주포면 일원에 2025년까지 300억 원(국비 150억 원, 지방비 150억 원)을 투입해 전기차 배터리 잔존 성능 실시간 평가시스템 구축과 폐배터리 선별 프로세스를 개발한다는 내용이다.
전기차 배터리 성능을 실시간 모니터링데이터 분석하는 기술 개발로 전기차 폐배터리 활용 절차를 간소화하고, 중고전기차 시장을 육성하겠다는 구상이다.
이밖에 충남공항건설(15억원)과 가로림만 해양정원 조성(91억원), 서해선 복선전철 삽교역 설치(228억원), 가로림만 국도38호선 해상교량 건설(10억원)에 필요한 국비를 건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