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스포과학공원 활성화 계기 삼아야
2001-08-20
″대전의 명소 엑스포과학공원을 더 이상 방치하지 말고 특화시켜야 한다.″대전엑스포과학공원에서 지난 11일부터 20일까지 개최된 사이언스 페스티벌이 30만명(지난해 23만명)이 넘는 관람객이 몰린 가운데 성공리에 끝마쳤다.
혹서기에 열린 과학축제가 이렇듯 성공을 거둘 수 있었던 것은 무엇보다 단순 영상물 만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직접 과학체험의 장을 마련한 것이 주효했다.
남극 세종기지, 액션로봇체험, 8월의 크리스마스강연, 별자리체험, 항공체험, 인력선 축제 등등... 사이언스 페스티벌은 대전엑스포 과학공원의 나아갈 방향을 명약관화하게 보여 주었다.
이같은 분위기를 반영하듯 대전엑스포과학공원 관계자들은 ″이제 사이언스 페스티벌은 비록 혹서기 행사지만 완전히 정착됐다″고 공언을 하고 있다.
그 이유는 작년의 1회때 행사는 주로 초등학교 어린이들이 참여했다면 올해 2회 행사는 중, 고등학교 청소년들과 어른들까지도 동참한 행사로 승화됐고 관람객의 분포도 역시 외지인이 65%에 달해 지난해 45%를 훨씬 뛰어넘은 점을 지적하고 있다.
이제 엑스포과학공원을 고쳐 나가야
사이언스 페스티벌의 성공적인 개최가 엑스포과학공원의 성공적인 미래를 보장해 주고 있는 것은 아니다.
사이언스 페스티벌은 대전엑스포가 지난 93년 개최된 이후 사양화의 길을 걸어온 과학공원이 새롭게 태어나야 한다는 명제를 던져 주었을 뿐 변화의 주체는 엑스포과학공원과 대전시가 되어야 한다.
그러나 문제는 여기에 있다. 엑스포과학공원과 대전시와의 보이지 않는 시각차이는 엑스포 과학공원 활성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현재 엑스포과학공원의 자본은 980억원에 달한다. 대전엑스포93이 끝난 후 조직위로부터 넘겨받은 돈은 642억원. 그 동안 이자수입이 쌓여 330여억원이 불어나게 되었지 과학공원이 운영을 잘해서 그렇게 된 것은 아니다.
최근 몇 년 동안은 실질적으로 매년 발생하는 이자수입을 매년 60억-70억원 정도 까먹고 있는 실정이다.
자본의 문제는 차치하고 지금 운영되고 있는 9개 전시관이 대부분 영상물 상영 위주로 되어 있다는 점이 한계로 지적되고 있다.
사이언스페스티벌에서 보듯이 관람객들이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전시장을 다양하게 만들어 나가야 하지만 늦어도 올해 4월말까지는 마련한다는 과학공원 재구축사업의 마스터플랜은 지금까지도 미뤄져 오고 있다.
과감한 투자 인식전환 필요
이를 두고 엑스포과학공원 측은 대전시와 시의회, 이사회에서 제동을 걸기 때문에 늦어지고 있다는 반응이고 대전시 측은 계획자체를 신중하게 하지 않으면 많은 자본금이 날아갈 우려가 있어 완벽한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라는 입장을 표명하고 있다.
이에대해 엑스포과학공원 관계자들은 ″지금처럼 정부, 지자체, 시의회 등 모두가 간섭만 하려하고 딴지를 거는 풍토에서는 엑스포과학공원의 미래는 장담할 수 없다″며 ″솔직히 대전시를 비롯 행자부, 감사원 감사까지 다 받아가면서 일을 하라는 현재의 공사체제는 한시바삐 고쳐져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또 이들은 지금하고 있는 결재업무중 80%가 시 결재라며 엑스포과학공원은 우리나라에서 과학축제를 열 수 있는 인프라가 가장 훌륭하게 구축되어 있는 만큼 대전의 앞날을 위해서라도 엑스포과학공원을 특화시켜 나갈 용단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세계 유수의 테마파크도 1-2곳만 빼놓고는 적자운영이기 때문에 정부나 지자체에서 재정적 도움을 주고 있다며 정부와 대전시도 50억원 정도의 투자도 제대로 할 수 없게 할 것이 아니라 더 많은 자금을 투자해 대전엑스포과학공원을 아시아의 테크노파크로 만들어야 한다는 의식 변화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이언스페스티벌을 계기로 바로 본 대전엑스포과학공원의 현주소는 이처럼 환골탈태를 요구하고 있다.
대전시, 의회, 엑스포과학공원 관계자를 비롯 대덕연구단지 연구원, 벤처기업대표, 지역문화예술인, 시민 등이 참여한 가운데 엑스포과학공원의 마스터플랜을 위한 공청회를 열어 의견수렴의 장을 만들어 보면 어떨까 제의해 본다.
< 이석호 기자 · ilbolee@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