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톡톡: 백 쉰일곱번째 이야기] 공동의 연대와 협치 발휘해야

자료사진.
자료사진.

코로나19 이후 만 3년. 거리두기 없는 설 연휴를 맞았다. 감염 확산 우려에 귀성길을 포기했던 가족과 친지가 모처럼 한 자리에 둘러앉게 됐다. 대개 이런 자리에서 중장년층의 화제는 ‘정치 이야기’일 것이다. 

오랜만에 만난 이번 설 명절에는 그 정도가 심할지 모른다. 윤석열 대통령을 비롯해 지난해 지방선거에서 승리한 국민의힘 이야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사법리스크’와 야당의 향후 진로 등등.
 
이 화제의 틈바구니에서 과연 ‘충청의 정치’는 끼어들 수 있을까? 선거 때마다 민심의 ‘바로미터’, ‘캐스팅보트’로 분류됐지만, 선거가 끝나면 도돌이표처럼 변방으로 돌아간 게 충청권이기 때문이다. 무엇도 예측하기 힘든 격변의 시대, 충청도도 뭔가 달라져야 하지 않을까. 

올해는 굵직한 선거가 없다. 그렇다고 여유를 부릴 수도 없다. 올 한해 지역 여론을 어떻게 살피고, 정책 방향을 정하느냐에 따라 내년 4월 총선의 승패가 달려 있을 터. 

충청의 정치도 올해 정치적 분수령을 맞을 전망이다. 지난해 대선과 지방선거를 통해 지역 정치 주도권이 바뀌었기 때문이다. 국민의힘은 ‘윤심’을 앞세워 내년 총선까지 여세를 이어갈 작정이다. 더불어민주당은 내년 총선을 반격의 계기로 삼겠다며 와신상담하고 있다. 여야 모두 올해가 왜 중요한지를 깨달아야 하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그렇다면 지역 정치권은 어떤 준비를 해야 할까. 충청의 정치가 ‘변방의 정치’, ‘홀대론’에서 벗어나려면, 지역발전을 위한 동력이 필요하다. 동력의 원천은 ‘공동의 연대’에서 비롯한다. 충청권 메가시티 조성을 대표적 사례로 삼을 수 있다. 여야 모두 국가 균형발전론에 기반해 당론에 가까울 정도로 공들이고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어떻게 연대하고 단합할 것이냐에 있다. 대의에는 공감하면서도 각론에서 정당 간, 지역 간 이해관계가 엇갈리고 있기 때문이다. 충청권 메가시티는 부울경 메가시티가 물 건너간 뒤 가장 주목받고 있다. 윤석열 정부 역시 전폭적인 지원을 약속하지 않았나. 

여기에 충청권은 ‘2027 세계하계유니버시아드 대회’를 공동 유치하며 단합할 수 있는 호기를 맞았다. 다시 말해 정치의 변방에서 중심으로 성장·발전할 절호의 기회를 맞은 셈. 그것이 실제화하려면 내년 총선에서 응집력으로 나타나야 한다. 

거기까지 도달하려면 지금부터라도 충청권을 결집할 수 있는 리더십과 정책 비전을 내놔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수도권은 말할 것도 없고, 영호남에도 밀리고 말 것이다. 변방도 모자라 소멸의 길을 걸을지 모른다. 

KTX 세종역 문제로 싸우고, SRT 서대전역 패싱으로 싸우고, 치의학연구소 유치로 싸운다면 지역 내 갈등만 증폭될 뿐이다. 

'협치'란 작은 행동과 실천에서 비롯한다. 경기도 과천 여야 새내기 시의원들은 설 명절을 앞두고 ‘협치 현수막’을 걸었다. 당협(지역)위원장을 모시듯 새긴 지방의원들의 ‘가신 현수막’에 울림을 줬다. 지역민을 위한 동반자는 이런 관계여야 하지 않을까.

절호의 기회는 자주 오지 않는다. 올해만큼은 충청의 정치가 정신 차려야 한다. 이런 고민과 대안이 활발히 오가는 설 명절이 되길 바란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