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존수영 의무화 됐지만...미진한 실행력
세월호 이후에도 반복되는 참사 "악순환 끊어야"

국민주권실현적폐청산대전운동본부 4·16특별위원회가 11일 기자회견을 열어 세월호 참사 8주기 기억다짐주간을 선포하고 진상규명 등을 촉구하고 있다. 
국민주권실현적폐청산대전운동본부 4·16특별위원회가 11일 기자회견을 열어 세월호 참사 8주기 기억다짐주간을 선포하고 진상규명 등을 촉구하고 있다. 

[김다소미 기자] 탑승객 476명을 태운 여객선 ‘세월호’가 진도 바다에 침몰한지 8년이 지났다.

당시 엉뚱한 교신으로 인한 초기 대응 미흡, 선장과 선원들의 무책임, 해경의 소극적 대처, 정부의 안일함 등의 총체적 부실은 유족들에게 더 큰 상처를 남겼다.

이후 세월호 참사는 정치권의 정쟁 대상으로 치부되며 유족들은 가족, 친구, 연인을 잃은 상실감과 아픔을 제대로 돌볼 여유도 없이 정치논리와 맞서 싸워야 했다.

세월호 8주기를 맞아 충청권 언론은 사회 각계의 변화를 촉구하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에 대한 고민을 보도했다.

<금강일보>는 14일 두 편의 특집 기사를 통해 세월호 참사 이후 교육계의 안전 예방 실태 고발과 추모 현장을 전했다.

이 언론은 먼저 참사 이후 의무화 된 ‘생존교육’의 현장을 찾아 충청권에서 실기가 가능한 수영장은 110여 곳에 불과한 현실과 지자체, 교육부 등 관계 당국의 미진한 행정력을 꼬집었다.

충청권 시·도교육청 자료를 근거로 들며 수영실기 수업이 가능한 곳은 대전 47곳, 세종 13곳, 충남 59곳 모두 119곳에 그쳐 열악한 여건이라고 지적했다.

이 같은 실태의 원인으로는 시설 부족을 인지하고 있음에도 교육당국 예산의 한계와 민간 수영장과의 이해관계가 맞물리는 점을 꼽았다.

근본적 해결방안에 대해 ‘생존수영의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부터 다져야 한다’는 일각의 견해를 전하며 인력보충과 시설 보완이 절실하다고 분석했다.

같은 날 다른 기사를 통해 대전시 가오고등학교의 추모 현장 분위기를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가오고에서는 ‘계기교육’을 열고 지난 1989년 힐즈버러 스타디움에서 발생한 관람객 96명 압사 참사와 2014년 대한민국의 참사를 비교했다.

수업을 들은 학생들의 인터뷰를 통해 ”진상규명 목소리가 계속 나오는 건 세월호의 진실이 시원하게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이라며 ”우리를 위해, 오늘도 슬퍼하고 있을 유가족들을 위해 제대로 된 진상규명이 필요하다“는 발언을 실으며 일침을 가했다.

또 “세월호는 부조리한 관행, 부패, 비리, 권력의 무능, 국가의 책임방기 등 사회 곳곳에 켜켜이 쌓여온 구조적 문제가 얽혀있다. 지난 8년간, 어른들은 이를 바로잡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대전일보>는 13일 기자수첩을 통해 참사 이후 반복되는 안전관련 사고들을 언급하며 우리 사회가 변화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언론은 세월호 참사가 사회에 던지는 화두는 ‘안전불감증’이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정부에서 설치한 재난안전관리본부는 ‘재난안전통신망’ 구축으로 현장의 의사소통 효율화를 꾀한다고 했다.

세월호 이전에도 삼풍백화점 붕괴, 대구 지하철 참사 등 여러 대형 사고를 언급하며 재발 방지와 개선의 목소리가 무색하게도 국가적 재난과 어이없는 참변은 여전히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 1월 광주에서 발생한 아파트 신축 붕괴 사고와 대전 중구 선화동 주상복합 건물 붕괴도 세월호와 닮았다고 평가했다.

사고 당시 초기 대응 타이밍을 놓치거나 이후 조사를 통해 드러난 부실 공사 흔적은 우리가 세월호 참사를 기억하는 이유와 위배된다고 분석했다.

세월호를 우리가 기억해야 하는 이유는 유사 사고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희생을 막기 위함이지만 똑같은 원인으로 매번 비극이 발생하고 있어 악순환을 끊기 위해 근본 대책과 대응 체계 마련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