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아직 전두환을 용서하지 않았다’
국가지도자 최우선 자질은 ‘올바른 역사관‘

한기원 칼럼니스트
한기원 칼럼니스트

“우리가 전두환 대통령이 군사 쿠데타와 5·18(광주 민주화운동)만 빼면, 잘못한 부분이 있지만, 그야말로 정치를 잘했다고 얘기하는 분들이 많다. 그거는 호남 분들도 그런 얘기를 한다”

국민의힘 윤석열 예비후보의 전두환씨에 대한 평가가 이렇다고 한다.
공당의 대통령선거 예비후보가 전씨를 바라보는 시각이 흡사 ’구애‘에 가깝다.

참으로 기가 찰 노릇이다.
과연 그의 머릿속에는 ‘역사인식’이라는게 존재하는지조차 알 수 없을 정도로 실로 귀를 의심하게 만드는 발언이 아닐 수 없다.

제 아무리 다급한 대선정국에서 ‘식객삼천(食客三千)’의 ‘포용성’이 강조되곤 하지만 ‘왕’으로 가는 길목에서 전씨까지 소환해 가며 그를 감싸 안는 듯한 제스처는 도대체 납득하기 어렵다. 참으로 비루하고 남루한 ‘포용성’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국가 지도자의 자질에 대해서는 여러 사람들이 여러 조건들을 제시하고 있지만 무엇보다 그 자질의 최우선순위는 ‘역사관’이다.

사회와 국민 생활의 보다 나은 단계로의 발전과 향상을 위해 자기 뜻을 펴나가는 수단으로 정치를 하겠다는 후보만이 바로 바른 역사관을 가진 국가 지도자가 될 수 있다는 얘기이다. 

즉, 이런 성찰과 고민없이 권력추구에만 지나치게 집착하는 정치인은 지도자로서의 자격이 없다는 것임을 우리는 뼈아프게 경험해 오지 않았는가.

어떻게 이미 역사와 사법부에 의해 단죄가 진행중인 전씨를 옹호하면서 민주주의를 거론할 수 있는지 딱하기 그지 없다.

한 때 우리 검찰 스스로 전씨를 비롯한 당시 신군부가 취한 모든 조치들은 ‘군의 주도권을 장악한 전두환보안사령관이 정권을 장악해가는 과정’이었다고 정리했던 흑역사가 있었다.

여기다 검찰은 ‘구헌정질서에 근거해서 새로운 정권과 헌법질서 창출을 위한 행위들의 법적 효력을 다투거나 법적 책임을 물을 수 없다’고 결론짓기도 했었다. 그러니까 당시 이는 ‘권력’이 ‘법’위에 있음을 검찰 스스로 인정한 셈이었다.

대한민국의 엄중한 대통령 후보인 검찰 출신의 윤석열씨의 무책임한 발언앞에 우리 스스로 죄인이 되고 있다는 자괴감을 지울 길이 없다.

그가 누구든간에 이같은 몰상식한 망발을 남발하는 수준이하의 정치행태는 냉철하게 말해 수장(水漿)되어야 마땅하다.

그렇게 할 때 우리는 진정한 민주주의를 향유할 수 있는 자격을 갖게 됨을 우리는 절실히 깨달아야 한다. 그가 누구든 우리는 대통령이 되려는 사람이 ‘까마귀’인데도 ‘백로’로 둔갑시키는 일은 ‘청산대상’일 뿐이라는 것에 경계가 없기를 소망한다.

광주에서 목숨을 걸고 싸운 사람들은 물론이고 광주항쟁의 계승을 역사적 사명으로 인식하고 있는 대다수 국민들에게 그 항쟁을 ‘재해’로 격하시키거나 모독하는 것으로 밖에 달리 해석하기 어렵다.

우리는 아직 전두환을 용서하지 않았다. 우리는 아직 전두환에 대한 원한과 분노를 삭이는 길은 ‘법대로’ 엄정하게 처리하는 길밖에 없다고 믿고 있다.

그것은 전두환으로 인해 피해를 당한 국민들의 감정을 만족시키는 일에 그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우리 역사 속에 전씨와 같은 불행한 인물을 다시는 만들지 않는 길이며 불의와 비리는 응징될 수밖에 없다는 교훈을 후세에 남겨야 할 필요성 때문이다. 

과연 윤 후보의 뇌리속에는 용서의 감정은 가까운 곳에 있고 엄정한 법적, 역사적 처리의 요구는 먼 곳에 있는지 묻고 싶다.

아직까지도 광주학살의 진실이 제대로 밝혀지지도 않았는데 윤 후보의 후안무치한 발언은 과연 윤 후보가 4월혁명과 5·18 민주화운동을 계승하겠다고 얘기할 자격이 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광주를 두 번 죽일 셈인가.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