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석면피해자 1943명, 전국 피해자의 36.7% 수준..피해자 인정 비율 68.3%
"산재보험과 동일한 수준 지원 필요"

충남환경운동연합과 환경보건시민센터, 한국석면추방네트워크 등 단체는 30일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충남지역 석면피해실태 조사보고서를 발표했다.
충남환경운동연합과 환경보건시민센터, 한국석면추방네트워크 등 단체는 30일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충남지역 석면피해실태 조사보고서를 발표했다.

충남지역 석면피해자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환경보건시민센터와 예산·홍성환경운동연합 등 환경단체는 30일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충남지역 석면피해실태 조사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들이 정의당 강은미 의원실에서 입수한  ‘전국 기초자치단체별 석면피해신고 및 인정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7월 기준 충남지역 석면 피해자는 1943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았다. 이는 전국 석면피해자 5295명의 36.7% 수준이다. 지역에서 석면피해자로 인정된 비율은 68.3%(2846명 중 1943명)다.

충남지역 석면피해자 인정질환별로 보면 선면폐가 1606명(83.3%)으로 가장 많고, 석면폐암 256명(13%), 악성중피종 78명(4%), 미만성흉막비후 3명으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석면광산이 많았던 홍성과 보령에 피해자가 집중됐다. 홍성군이 957명으로 절반  가량을 차지했고, 보령시 642명, 천안시 83명, 예산군 78명, 청양군 59명 순으로 나타났다.

홍성에 거주하는 석면폐 환자(1급)인 이남억씨는 “주변 석면 광산이 굉장히 많지만 관리가 소홀하다. 지자체에서 신경을 써야한다”며 “주변에 2,3급을 받은 이들에게도 1급 못지않게 고생하고 있다. 이들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백도명 서울대 명예교수는 “석면질환은 잠복기가 10~40년으로 길다. 충남은 마지막 광산이 80년대에 문을 닫았다”며 “때문에 앞으로도 많은 피해자가 나올 수 있다”고 우려했다.

백 교수는 이어 “현재 구제되는 질환이 폐에 집중돼 있는데, 석면은 복막과 후두, 여성 난소암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세계보건기구에서 석면질환으로 인정하고 있는 난소암, 후두암 등 구제인정 대상질환을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석면피해자로 인정된 이들에게 구제지원 수준을 높여 직업성 산재보험과 차이가 없도록 하고, 불인정된 석면질환자에게는 추가 구제조치가 필요하다”고도 했다.

한편 석면은 세계보건기구(WHO)가 지정한 1급 발암물질이다. 석면피해구제법은 지난 2008년 환경단체와 노동조합 등 전문가들이 전국민 서명운동을 전개해 특별법 형태로 제정됐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