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세종연구원, 경제통합 염두 협력과제 제안
“산업융합도, 인력 전망·수요 공동 연구 필요”

지난 7월 열린 대전-세종 광역철도 공동건의 협약식 모습. 광역교통망 구축은 공동 경제생활권 구축을 위한 기반으로 꼽힌다. 세종시 제공.
지난 7월 열린 대전-세종 광역철도 공동건의 협약식 모습. 광역교통망 구축은 공동 경제생활권 구축을 위한 기반으로 꼽힌다. 세종시 제공.

대전·세종 경제자유구역 추진 움직임과 함께 두 도시가 통합경제권 구축을 위한 다양한 시도에 나서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최근 2021 대전세종 정책엑스포를 통해 발표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메가시티 구축 움직임과 함께 지역총소득 확대를 목표로 한 경제통합론이 부상하고 있으나, 분업적 상호보완성을 갖는 산업 육성에는 아직 미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주력산업과 성장유망사업을 통해 본 두 도시 간 보완성이 높은 산업으로는 교육, 의료·보건, 가스·증기·온수, 수도, 폐수처리, 폐기물처리·자원재활용서비스, 육상운송비스, 자동차·소비용품 수리·개인서비스업 등이 언급됐다.

특히 ICT 산업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대전의 반도체, 기타전자부품 제조 산업은 세종의 상당수 제조업과 산업융합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분석됐다. 소프트웨어 개발·공급, 과학기술, 기타 전문서비스업은 세종의 서비스업과 산업융합도가 높았다.

세종의 경우는 합성수지·고무, 철강 1차제품, 금속가공제품, 특수목적용기계 등의 산업이 대전 제조업과 산업융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세종 산업특화도 분석 결과, 연구진들은 메디바이오산업, ICT 융복합 스마트헬스케어 사업을 집중 육성할 필요가 있다는 결과를 내놨다.

인력 공동 연구, 경자구역 지정 강조

지난해 대전시와 세종시가 체결한 2차 상생협력과제 일부 발췌. 대전세종연구원 제공.
지난해 대전시와 세종시가 체결한 2차 상생협력과제 일부 발췌. 대전세종연구원 제공.

산업뿐만 아니라 인력에 관한 체계적인 공동 연구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인력 수요조사, 장기 인력 수요 전망, 주력·성장 유망 사업 공동 인력양성체계 구축, 공동 인적자원DB 구축, 인적자원개발계획 수립 등이 구체적인 예다.

대전은 연구-창업 스타트업(start-up) 생태계, 세종은 스케일업(scale-up) 생태계를 조성해 연구-창업-생산 효과를 창출해야 한다는 구상안도 나왔다. 

실질적인 통합경제권 구축을 위한 첫 걸음으로는 경제자유구역 지정이 언급됐다. 두 지자체는 지난 16일 대전시청에서 '대전·세종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위한 개발계획 용역' 착수보고회를 열고, 이를 공식화 한 바 있다.

올해 내 지정 신청서를 산업부에 제출하고, 내년 제20대 대선 과제로 반영하는 것이 목표다. 경제자유구역 지정은 관련 시행령이 개정되는 등 혜택이 확대되는 추세다.

대전세종연구원 김기희 선임연구위원은 ““경제자유구역 지정 시 규제 특례를 시범적으로 적용하는 방안을 포함할 필요가 있다”며 “두 지역의 산업적 강점인 R&D, AI, 스마트시티, 미래차, 바이오, 첨단소재를 활용해 시너지를 창출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진들은 통합경제권 구축을 위한 신규 상생협력 주요 추진 과제로 ▲사회적경제 기업 간 협력 재정지원 ▲지역공동체 개발 서비스 협력 ▲지역화페 공동사용 논의 등을 제안했다.

다만, 지역화폐 공동사용과 관련해서는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최근 발간된 ‘대전·세종 지역화폐 향후 개선방안’ 연구에서는 사용자 편의성 향상이라는 큰 장점이 있으나, 특정 지역에서 지역소비 역외유출이 발생할 수 있고, 이 문제가 지자체별 재원 지원의 적정성 이슈와 연결돼 지역 소상공인 및 자영업자들 간 갈등을 야기할 수 있다는 점이 언급됐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