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꼰대정치의 종언(終焉)’ 신호탄, 대권표심은 이미 정해졌다

한기원 칼럼니스트
한기원 칼럼니스트

꼰대.
흔히들 나이가 많고 권위적이며 ‘나 때는 말야’를 즐겨 쓰는 사람들을 가리키는 말이다. 본래 ‘보수적인 사고를 가진 선생님을 비하하는 언어’로 일컬어졌으나 최근에는 나보다 나이어린 사람들에게 내 생각이 무조건 맞다는 식으로 접근하는 사람을 통칭하기에 이르렀다.

‘국민의 힘’에서 체질개선과 세대교체의 바람이 거세게 불고 있다.
지도부가 국민에게 비전을 제시해 주지 못하고 있는데다 당의 지지도가 정체를 거듭하고 있고, 세대교체론의 공감대가 사회저변에 깔려 있는 시점이어서 이같은 현상은 신선한 충격을 넘어 향후 대선표심에 바로미터가 될 가능성이 커졌다.

요즘 정치권 안팎에서 상종가를 치고 있는 이른바 ‘이준석 쇼크’.
그가 국민의 힘 당대표가 되면 과연 야권통합은 과연 이뤄질 수 있을 것인가.
대다수 정치평론가들은 대체로 ‘매우 그렇다’에 방점을 찍고 있는 모양새다.

그러니까 이 전 최고위원이 당대표에 선출될 경우 야권통합논의가 지지부진하거나 장기화하지만 않는다면 향후 대선 일정 등을 감안할 때 무산될 가능성은 거의 희박하다는 게 지배적인 분석인 셈이다.

즉 윤석열 전 검찰총장을 비롯, 무소속 홍준표의원,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 등을 아우르는 야권의 초당적 대선레이스에 상상하기 어려울 정도의 동력이 추동될 수 있다는 얘기다.
지금으로선 사실 전혀 실현불가능해 보이지 않는 시나리오로 읽혀진다.

누가 새로운 ‘국힘’ 당대표가 되든 야권통합추진을 둘러싼 국민의 힘의 대응 등 일련의 상황은 국내 정치지도자들에게 매우 뼈아픈 교훈을 던져 줄 것이 자명한 양상으로 흐르고 있다.
즉 과거처럼 지도자들간의 절충과 협상만으로 정당의 통합이 이뤄지는 시대는 지났다는 점에서 새로운 관전포인트에 대한 기대치는 상승할 수 밖에 없을 것으로 점쳐진다.

물론 지도력도 큰 역할을 하지만 어디까지나 당외에 있는 구성원들간의 충분한 논의를 통한 공감대형성이 필수요건이어서 그 시기를 얼마만큼 당길 수 있느냐는 것이 관건임은 물론이다.

여기다 충분한 통합논의는 훗날 분쟁 등 각종 통합후유증을 최소화하고 또 그 과정을 통해 통합의 당위성에 대해 국민을 설득하게 되는 것이기 때문에 감동을 줘야 함은 불문가지다.

다만 이 과정에서 기득권 보수중진들이 일사불란하게 통합에 참여한다는 ‘강한 긍정’의 시그널이 지금으로선 불투명하다는 것이 난제다.

결국 수구보수세력의 반발이 불 보 듯 뻔하다는 점은 ‘윤석열의 시간’이 생각보다 더 길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가 아직 국민의 전폭적인 지지와 격려를 받고 있다고 보기 어렵기 때문에 그가 통합야당의 대권주자가 되기 위해 내놓아야 할 원칙과 의무의 보따리는 사뭇 버거워 보인다.

또한 그는 선택권이 사실상 ‘야권’으로 제한돼 있기 때문에 자신에게 ‘수구보수’라는 프레임이 덧씌워지는 것을 가장 피하고 싶고, 가장 부담되는 대목이라는 점에서, 이럴 경우 대구·경북(TK)과 보수단체에 대한 시선처리는 난제중의 난제가 될 수밖에 없다.

사심과 명리(名利)를 과감히 버리는 일이 무엇보다 필요함은 물론 국민의 뜻이라면 언제든지 ‘대권예비후보’에서마저 물러난다는 살신성인의 자세를 보여줘야 한다는 것들로 채워져 있어 그의 정치력은 최대 위기에 봉착할 것으로 전망된다.

기정사실화된 윤 전총장의 ‘국힘’ 입당과 향후 야권통합신당의 모습은 그 성패를 가늠하는 핵심요건이 ‘국민감동’임은 불문가지여서 어쩌면 그는 40여 년 전 김영삼, 김대중 전 대통령이 주창한 '40대 기수론'을 꿈꾸고 있는 것은 아닐까.
국민과 함께 했기에 ‘꼰대’의 벽을 뛰어넘을 수 있었던 그 파격의 ‘40대 기수론’.

토니 블레어 전 영국 총리나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 등이 40대에 지도자로 부상할 수 있었던 것도 정책과 노선에서 새로움을 보여줬기에 가능하지 않았던가.

이와는 달리 현재 민주당의 세대교체에 대한 ‘우보(牛步)’는 사실상 50대 민주화세대의 리더십 실패, 즉 ‘꼰대정치’에 신물이 난 국민들의 분노로 자리매김될 소지가 적잖다.

민주당내 '신 40대 기수론'은 이런 세대적 위기와 여권의 위기라는 이중의 위기에 대한 천착이 전제되어야 명분과 힘을 겸비할 수 있지만 유감스럽게도 지금은 그 ‘희미한 빛’조차 발견하기 어려운 참담한 국면이라는데 국민적 절망감이 고스란히 노출돼 있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