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4개 시·도지사. 왼쪽부터 이시종 충북지사, 이춘희 세종시장, 허태정 대전시장, 양승조 충남지사. 자료사진.

‘충청권 메가시티’ 논의를 지켜보는 지역민들의 답답함이 커지고 있다. 동남권, 대구·경북, 광주·전남 등이 경제권 통합, 행정통합 등 분명한 방향타를 설정하고 성큼성큼 앞서가고 있는 반면, 충청권 메가시티 논의는 아직 걸음마 단계에 머물러 있기 때문이다.

충청권 4개 시·도가 ‘메가시티’라는 흐름에 동의하면서도, 각자 주인공이 돼 자기 입맛에 맞는 음식만 골라 밥상을 차리려하니 합의 자체가 어렵고, 합의가 이뤄져도 특색 없는 잡탕밥에 불과할 것이란 우려가 크다.

무엇을 위한 메가시티인지 어떤 메가시티인지에 대한 정치적 합의가 없다. 충청권 4개 시·도가 공통의제를 마련하지 못하고, 광역 SOC 확충을 위한 수단으로 메가시티를 인식하다보니 논의를 진전시키지 못하고 있다.

양승조 충남지사는 지난해 송년회견에서 “충청권 생활경제권 메가시티 구성에서 충남도가 어떻게 해야 할지 분명히 해야 한다”며 “수도권과 연계발전 방향을 만들지 않으면 안 된다”고 이야기 한 바 있다. 충남 핵심도시인 천안·아산을 고려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대전-세종 행정통합론’에 방점을 찍고 있다. 허 시장은 올해 신년회견에서 “경제통합이라는 것은 서로의 이해관계에 의해 이뤄지는 것이기 때문에 유효성이 있을 수밖에 없다”며 “경제통합 범위를 넘어 능동적인 행정력을 발휘하려면 결국은 조직의 통합이 가능해야 한다”고 행정통합론을 거듭 주장했다.

이춘희 세종시장도 세종시 중심의 메가시티 논의에 뛰어들었다. 이 시장은 4일 기자회견에서 “세종의 이익만을 강조하는 입장에 서기 보다는 충청권 전체에 도움되는 일이 무엇인지 찾고, 이 방향으로 설득해나가는 역할을 적극적으로 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이 시장은 “행복도시건설청이 4개 시도와 함께 광역도시계획을 수립 중인데, 이 내용이 메가시티 통해 하고자 하는 일과 일치한다”며 “이 광역도시계획 중심으로 해야 할 일을 찾고 우선순위를 찾아 집중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세종시 중심의 광역도시계획을 메가시티 논의와 동일시하는 국토부 관료출신다운 발상이다.

결국 ‘충청권 메가시티’ 논의는 충청권 광역단체장들의 서로 다른 입장과 이해관계에 얽혀 제 자리만 맴돌고 있는 중이다. 지역정치권에서는 ‘정치적 좌장’이 없다보니, 메가시티 논의가 산발적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그나마 연륜 있는 충남·북 지사가 좌장이 될 수 있지만, 이시종 충북지사는 충북을 벗어나 충청권 전체를 아우르는 시야가 없고, 양승조 충남지사는 대권도전에 관심이 쏠려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충청권 4개 시·도지사는 오는 15일 세종시에서 열릴 제30회 충청권행정협의회에서 충청권 메가시티 구축 기본구상 등에 대해 협의하기로 했다. 지난해 11월 20일 열린 29회 협의회에서 ‘메가시티’ 추진에 대한 첫 단추를 꿴 만큼, 이번에 어떤 진전을 이뤄낼 수 있을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