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영환의 로컬노믹스]

대전 동구 소재 '대동 하늘공원' 모습. 사진=동구청 홈페이지

<디트뉴스24>가 지역경제발전을 위한 정론의 역할을 다하기 위해 경제·문화 전문칼럼 [강영환의 로컬노믹스] 코너로 독자여러분을 찾아갑니다. 

지역을 의미하는 로컬(Local)과 경제학을 의미하는 이코노믹스(Economics)를 결합한 조어인 로컬노믹스(Localnomics)는 지역성에 기반한 지역활성화 모델을 만들어 가자는 의미입니다. 

지역에 내재하는 자연자원, 인문자원, 경제자원 등의 DNA를 이용해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역공동체 회복를 도모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습니다. 

중앙권력이나 관치행정의 주도 논리에 의한 획일적인 발전방향이 아닌 지역의 고유성과 특화된 경쟁력, 지역의 자생성을 중심으로 대전형 지역발전모델을 제안하고자 합니다. [강영환의 로컬노믹스]는 독자여러분과 함께 만드는 모델입니다. 많은 관심과 조언 부탁드립니다. (편집자)

대전은 문화도시일까? 대전은 ‘과학문화 도시’이고 ‘효문화 도시’이고 ‘양반문화 도시’이기도 하다. 시민들은 이에 자부심을 갖고 대전을 ‘문화도시’라 자랑스럽게 여긴다. 

그런데 대한민국의 문화정책을 총지휘하는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의 정책기준을 적용하면 대전은 ‘문화도시’가 아니다. 

문체부는 지역문화진흥법에 따라 ‘문화도시’를 ‘지역별 특색 있는 문화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해 문화 창조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정된 도시’라고 정의하고, 2018년 5월에 2019년부터 2022년까지 4차례에 걸쳐 ‘문화도시 조성사업’을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최근 문체부는 인천 부평구, 강원 춘천시, 강원 강릉시, 전북 완주군, 경남 김해시 등 5개 도시를 대한민국 ‘제2차 문화도시’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그리고 이미 2019년 12월엔 1차로 7개의  ‘제1차 문화도시’를 선정한 바 있다. 경기 부천시, 강원 원주시, 충북 청주시, 충남 천안시, 경북 포항시, 제주 서귀포시, 부산 영도구가 해당 도시들이다. 

문체부의 ‘문화도시’ 조성사업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역 스스로 도시의 문화 환경을 기획·실현해 나갈 수 있도록 포괄적으로 예산을 지원한다. 1차 문화도시의 경우 국비 90억 원, 도시별 약 12억 8700만 원의 자금이 지원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문화도시’가 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통상 하반기에 문화도시 조성계획을 수립하여 신청하면 문체부 심의위원회의 1차 심사를 거쳐 연말에 ‘예비문화도시’를 선정한다. 이들 선정된 도시는 예비사업을 1년간 추진하고 연말에 2차 심의를 거쳐 정식 ‘문화도시’로 선정된다. 이 2단계의 경쟁절차를 거쳐야 ‘문화도시’로서의 본 사업을 추진할 수 있다.

100억 원에 이르는 예산규모의 사업이기에 이의 선정을 둘러싼 도시 간 경쟁은 매우 치열하다. 이번에 2차 ‘문화도시’로 선정된 5개 도시는 2019년에 선정된 12개의 ‘예비 문화도시’ 중 다른 7개를 제친 승자들이다. 2021년 말에 자웅을 겨뤄야 할 ‘제3차 문화도시’를 준비하는 ‘예비문화도시’로는 10개 도시가 선정되었는데, 여기엔 총 41개 도시가 신청을 했다고 알려진다.

그런데 이  ‘문화도시’ 선정사업에 유독 대전은 보이지 않는다. 대전광역시도, 대전의 5개구도 보이지 않는다. 워낙 경쟁이 치열하기에 다른 도시에 비해 준비가 부족하거나 콘텐츠 경쟁에서 밀려 선정이 안 될 수도 있다. 

그러나 문제는 사업에 대한 정보가 없는 것인지, 아니면 경쟁해봤자 승산이 없다고 아예 도전을 포기한 것인지, 아니면 100억 원을 따와야 뭐 하겠느냐며 배가 부른 것인지, 대전의 자치단체는 1차 관문인 ‘예비문화도시’ 선정을 위한 지난 해 41개 신청도시 명단에 없다. 아예 시도조차 안 했다는 것이 문제다.

이  ‘문화도시’ 사업은 지역주민이 문화의 주역이 되는 것을 표방한 풀뿌리사업이며 이는 대전의 모든 지자체가 표방하는 정신이기도 하다. ‘문화도시’는 지역 주민들이 직접 도시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다양한 계층·세대와 소통함으로서 문화설계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데에 역점을 둔다. 

이 사업은 도시의 문화적 가치를 재발견함으로써 개인의 삶의 질 향상과 함께 지역 고유의 문화발전과 지역 공동체의 회복을 촉진하기 위한 사업이다. 아울러 사업성과와 문화적 창의성을 바탕으로 지역문화를 도시의 지속가능한 성장 동력이 되게 하고 고유한 문화적 브랜드를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대전의 지자체도 이러한  ‘문화도시’ 사업에 뛰어들어야 한다. 실패하더라도 도전해야 한다. 다만 2019년 예비문화도시로 선정된 대구광역시가 문화도시에 최종 선정되지 못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 사업은 인천 부평구, 부산 영도구의 사례처럼 구(區) 단위 사업으로 접근하는 것이 전략적으로 옳다. 

그러나 인적자원의 한계 등으로 기초단체 자체만의 힘으론 추진하기에 제약이 있을 수 있다. 학계, 산업계 등 민간 전문가들과 협업이 필요하다. 특히 대전광역시 산하 정보문화산업진흥원, 문화재단, 마케팅공사 등 문화예술관련 공공기관의 지원이 필요할 수도 있다. 

무엇보다 풀뿌리사업으로서 지역주민들이 참여와 실행의 주체가 되는 것이 의미가 크며, 이를 위해 지자체와 함께 ‘문화도시 공동추진단’을 출범·가동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대전도 명실상부한  ‘문화도시’가 되어야 한다. 못할 것이 무엇인가? 문화가 경제다. 문화가 답이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